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물칭개나물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물칭개나물(문화어: 물칭개꼬리풀)은 질경이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이거나 두해살이풀이다. 한반도에서는 제주도, 전라북도, 경기도, 황해도, 평안북도, 함경남도 물가의 습지에서 자란다.
생태
40-80cm 가량이다.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마주나고 윗부분의 잎은 긴 타원상 피침형, 끝이 뾰족하고, 가는 톱니가 있으며, 얇고, 잎자루가 없다. 줄기를 둘러싸며, 길이 4-10cm, 폭 1-3cm이다. 꽃은 줄기 위 잎겨드랑이에 총상꽃차례로 달리며, 꽃자루는 굽어서 위를 향하고, 길이 3mm 정도이다. 꽃받침은 4갈래로 깊게 갈라지고, 갈래는 긴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화관은 4갈래로 깊게 갈라진다. 지름 6-7mm, 흰색 바탕에 적자색 맥이 있다. 수술은 2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삭과로 둥근 모양이며 끝이 오목하게 들어가고, 지름은 3mm 정도이다.
물칭개나물보다 크고 꽃이 진한 것을 큰물칭개나물(Veronica anagallisaquatica L.)이라 한다.
Remove ads
참고 자료
- 송홍선·하정옥, 《인천하천 생물도감》(풀꽃나무, 2005)
- 고경식·김윤식, 《원색한국식물도감》(아카데미서적, 1988)
- 이동혁, 《오감으로 찾는 우리 풀꽃》(도서출판 이비컴, 2007) ISBN 978-89-89484-57-8
이 글은 꿀풀목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