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미국 고립주의
미국역사 가운데 일어난 고립주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미국 고립주의(영어: American isolationism / United States non-interventionism)는 미국의 역사 가운데 일어난 미국 정부 및 미국인들이 가진 다른 나라들과의 관계에 대한 접근 방식 중 하나를 말하며, 국가 간 동맹이 오히려 전쟁을 가져온다는 전제 하에 만들어진 결과를 뜻한다. 단순히 고립주의라고 쓰이며 주로, 보수주의의 외교 정책에서 종종 사용되고 있다.

역사적 배경
1723년에 영국 최초의 휘그당 수상이었던 로버트 월폴은 " 나의 정치는 가능한 한 모든 관여로부터 자유롭게 유지 되도록 하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경제적 이익을 중시하였으며, 힘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영국이 유럽의 사태에 개입하는 생각을 거부하였다. 하지만, 미국 독립 혁명시, 제2차대륙회의는 프랑스와의 동맹을 형성할 것을 논의하였다. 당시 미국의 정치인들은 만일 미국과 프랑스가 동맹하지 않게 되어 미국 독립전쟁에서 패할 것을 두려워 한 나머지, 고립주의를 포기하였다. 이 때 벤저민 프랭클린은 1778년에 이 회의에 참여하여 성공적인 협상을 이끌어냈다.
1792년까지 있었던 영국-프랑스 전쟁에서 미국은 중립 노선을 택하였다. 당시 미국의 초대 대통령이었던 조지 워싱턴은 미국-프랑스 동맹 조약이 방어적 동맹을 의미한다고 말하며 개입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천명한다.
1차 대전
우드로 윌슨은 제1차 세계 대전에 바로 참전하지 않고 있다가 치머만 전보 사건 이후 연합국의 편에 참전한다.[1][2]
2차 대전
프랭클린 D. 루스벨트은 제2차 세계 대전에 바로 참전하지 않고 있다가 진주만 공격 이후 연합국의 편에 참전한다.[3][4][5]
Remove ads
21세기
미국은 시리아 내전 및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참전하지 않고 있다.[6][7]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