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미국 육군 의무사령부

의무, 치의, 수의 진료시설에 대한 관리감독을 수행하는 미국 육군의 직접보고부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미국 육군 의무사령부
Remove ads

미국 육군 의무사령부(United States Army Medical Command (MEDCOM))는 미국 육군 의무부사령부이다. 전신조직인 보건근무사령부처럼 미국 육군의 의과총감육군 의무부 총감과 의무사령관 직책을 겸직하고 있다.

간략 정보 미국 육군 의무사령부, 활동 기간 ...

역사

요약
관점

1993년 10월, 임시 의무사령부가 설립되어 일년동안 보건근무사령부와 의무부의 기능을 병합하는 과정을 시작하였다. 11월 1일, 임시 치의사령부(DENCOM)가 예하사령부로 편성되었다. 보건근무사령부의 지역대는 보건근무지원지역대로 대채하고, 의무사령부 예하조직으로 지정하여 임무 대응과 책임감을 더했다.

1994년 3월, 의무부는 의료연구개발사령부(MRDC), 의료물자국, 보건시설기획국(HFPA)을 합쳐 의료연구개발획득물류사령부(MRDALC)를 의무사령 예하에 편성하였고, 뒤에 사령부의 이름은 의료연구물자사령부(MRMC)로 바뀌었다.[1] 6월, 제7의무사령부를 대채하여 추가로 유럽에 보건근무지원지역대를 편성하였다. 8월 2일환경위생국을 보건증진예방의료원으로 재편성하였다.[2] 10월 2일, 수의대의 개별지휘부인 수의사령부(VETCOM)가 의무사령부와 같은 포트 샘휴스턴에 본부를 두고 주요 예하사령부로 지정되었다.[2]

2009년 10월 1일에 보건증진예방의료원은 수의사령부를 병합하기 시작하여 1년 뒤, 2010년 10월 1일에 공중보건사령부으로 재편성되고[3]치의사령부 또한 2011년에 병합되었다.

2012년 12월 16일, 걸프지구 치의사령부가 해산하였다.[4]

2016년 10월 1일, 공중보건사령부는 공중보건소(USAPHC)로 개명되었다.

Remove ads

구조

의무감실

  • 상의용사 재활프로그램 (WTC) (AW2 프로그램)
  • 미국 육군 보건소 (USAPHC)

주요 예하사령부

  • 제6의무군수관리원
  • 국군재활의료학회
  • 국군 의무 검사관 시스템
  • 국군 의료과학연구소
  • 폭발부상연구프로그램
  • 전투 사상자 치료 연구 프로그램
  • 의회 감독 의료연구프로그램
  • 국립보건의료박물관
  • 미국 육군 항공의료연구실험실
  • 미국 육군 치의 및 두개안면외상연구국
  • 의료물자개발처
  • 미국 육군 의료연구취득처
  • 미국 육군 전염병연구학회
  • 미국 육군 환경의학연구학회
  • 월터 리드 육군 연구학회
  • 미국 육군 보건계약처 (USAHCA)

의무즉응사령부

보건근무지원지역대(HSSA)는 1996년에 지역의무사령부(Regional Medical Command), 2016년에 지역보건사령부(Regional Health Command)로 개명되었다.

  • 태평양 의무즉응사령부 (MRC-Pacific)
  • 서부 의무즉응사령부 (MRC-W)
    • 서부 공중보건사령부 (PHC-C)
    • 서부 치의보건사령부 (DHC-C)
  • 동부 의무즉응사령부 (MRC-E)
    • 동부 공중보건사령부 (PHC-A)
    • 동부 치의보건사령부 (DHC-A)
  • 유럽 의무즉응사령부 (MRC-Europe)
    • 유럽 공중보건사령부 (PHC-E)
    • 유럽 치의보건사령부 (DHC-E) - 독일 셈바치
    • 바이예른 의무부처 (MEDDAC-Bavaria)
Remove ads

역대 사령관

자세한 정보 사진, 성명 ...
자세한 정보 사진, 성명 ...

같이 보기

  • 미국 육군 예비군 의무사령부 - 예비군에 배정된 의무부대를 총괄.

참고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