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미국 제2보병사단의 전투 서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제1차 세계 대전
- 제2사단 본부; 1917년 10월 26일 창설, 프랑스[1]
- 제3보병여단; 1917년 8월 11일 창설, 뉴욕주 시러큐스 ~ 1939년 10월 9일 해산, 텍사스주 포트 샘 휴스턴[3]
- 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 1921년 3월 개편(여단 본부와 본부중대가 결합됨).
- 제9보병연대
- 제23보병연대
- 제5기관총대대 (5th Machinegun Battalion)
- 제4해병여단; 1917년 ~ 1919년
- 제5해병연대
- 제6해병연대
- 제6기관총대대 (6th Machinegun Battalion)
- 제2야전포병여단; 1917년 10월 창설, 뉴욕주 거버너스섬[4]
- 제12야전포병연대 (75mm 대포)
- 제15야전포병연대 (75mm 대포)
- 제17야전포병연대 (155mm 곡사포)
- 제2참호박격포포대 (2nd Trench Mortar Battery)
- 사단 Train
- 지원부대
- 제2기병연대; 1918년 7월 18일 ~ 8월 6일, 제1, 2보병사단을 지원하였음.
Remove ads
전간기
- 제2사단 본부[1]
- 본부 및 헌병파견대 (Headquarters and Military Police Company); 1921년 2월 18일 본부중대에서 개편됨.[2]
- 사단 특수병력
- 제2의무대대 (2nd Medical Regiment); 1921년 2월 17일 제2의무 Trains에서 연대로 개편, 1939년 10월 10일 대대로 개편.[6]
- 제2공병대대 (2nd Engineer Battalion)1939년 10월 16일 제2공병연대 1대대에서 개편 및 연대 해체.[7]
- 제2보급대대 (2nd Supply Battalion); 1939년 제2보급 Trains (Motor)에서 대대로 개편.[5]
- 병참대(Quartermaster Corps); 1920년 4월 8일 사단 배속[8]
- 제2병참연대 E중대; 1936년 5월 1일, 위를 대채함.
- 제2병참대대 본부 및 본부중대 정비소대; 1939년 위를 재편성함.
- 제3보병여단; 1939년 10월 9일 해산, 텍사스주 포트 샘 휴스턴[3]
- 제4보병여단; 1920년 10월 창설, 텍사스주 캠프 트라비스 ~ 1925년 3월 23일, 사단에서 분리됨.[9]
- 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
- 제2야전포병여단; 1938년 10월 7일 해산, 텍사스주 포트 샘 휴스턴[4]
Remove ads
제2차 세계 대전

- 제2보병사단 본부; 1942년 8월 1일 개편.[1]
- 본부중대; 1942년 4월 22일 개편.[2]
- 제2수색대 (기계화)
- 제9보병연대
- 제23보병연대
- 제38보병연대
- 사단 포병대; 1940년 10월 1일 재소집, 텍사스주 포트 샘 휴스턴[4]
- 제15야전포병대대 (105mm)
- 제37야전포병대대 (MLRS)
- 제38야전포병대대 (MLRS)
- 제12야전포병대대 (155mm)
- 사단 특수병력
- 배속 지원
- 제741전차대대; 1944년 6월 ~ 1945년 5월
- 제615구축전차대대
- 제644구축전차대대
- 제462대항공기대대
출처:[11]
2000년 12월 31일
요약
관점

1991년 8월에 제2공병단을 사단에 편입하고 제2보병사단 공병여단으로 편성하였다.[12]
- 제2보병사단 본부 및 본부중대, 캠프 케이시; 1960년 5월 2일 개편, 조지아주 포트 베닝[1]
- 군악대, 캠프 케이시
- 제1여단, 캠프 케이시; 1963년 4월 16일 창설, 조지아주 포트 베닝[2]
- 본부 및 본부중대
- 제72기갑연대 1대대 "Crusaders", 캠프 케이시
- 제72기갑연대 2대대 "Crusaders", 캠프 케이시
- 제9보병연대, 2대대 (기계화) "Manchus", 캠프 케이시
- 제2여단, 캠프 호비; 1963년 2월 15일 제4보병여단을 개편, 조지아주 포트 베닝[9]
- 본부 및 본부중대
- 제503보병연대 1대대 (경) (공중 강습) "The Rock", 캠프 케이시
- 제506보병연대 1대대 (경) (공중 강습) "Curahee", 캠프 호비
- 제9보병연대 1대대 (기계화) "Manchus", 캠프 호비
- 제3여단, 포트 루이스; 1963년 2월 15일 제3보병여단을 개편, 조지아주 포트 베닝[3]
- 본부 및 본부중대
- 제3보병연대 1대대 (차량화), 포트 루이스
- 제23보병연대 1대대 (차량화), 포트 루이스
- 제20보병연대 5대대 (차량화), 포트 루이스
- 제14기병연대 1대대 (기갑화) (RSTA), 포트 루이스
- 제52보병연대 1대대 C중대 (대전차), 포트 루이스
- 제18공병중대 (전투), 포트 루이스
- 제209군사정보중대, 포트 루이스
- 제334통신중대, 포트 루이스
- 제5방공포병연대, 5대대, C포대, 포트 루이스
- 사단 항공여단, 캠프 스텐리
- 본부 및 본부중대
- 제2항공연대 1대대 (CBT) (ATK), 캠프 페이지
- 제2항공연대 2대대 (ASLT), 캠프 스텐리
- 제7기병연대 4대대
- 사단 포병대 (DIVARTY) "Warrior Thunder", 캠프 스텐리
- 본부 및 본부대대
- 제15야전포병연대 1대대 (DS) (SP) "Guns", 캠프 케이시
- 제17야전포병연대 2대대 (DS) (SP) "Steel", 캠프 호비
- 제27야전포병연대 6대대 (GSR) (75 FA BDE) "Proud Rockets", 포트 실
- 제37야전포병연대 1대대 (DS) (T), 포트 루이스
- 제37야전포병연대 6대대 (MLRS) "First to Fire", 캠프 스텐리
- 제38야전포병연대 알파(A) 포대 (MLRS) "Steel Behind the Rock", 캠프 스텐리
- 제26야전포병연대 폭스트롯(F) 포대 (표적 확보) "Wolfpack", 캠프 스텐리
- 사단 지원사령부 (DISCOM), 캠프 케이시; 2005년 5월 26일 해산
- 사단 공병여단, 캠프 하워즈; 2005년 5월 26일 해산
- 배속 지원
- 제5방공포병연대, 5대대 "Double Nickel", 캠프 스텐리
- 제122통신대대, 캠프 레드 클라우드
- 제102군사정보대대, 캠프 에세이욘
- 제2헌병중대, 캠프 케이시
Remove ads
2006년, 모듈화 적용 후
요약
관점
2005년에 여단 전투단 체계 도입으로 사단이 완전히 재편성되면서 공병여단은 해체, 포병대는 제210화력여단, 항공여단은 제2전투항공여단으로 모듈화되었다.
제4여단전투단이 2014년 3월 14일에 해산하고 각 예하 부대는 같은 사단의 다른 여단전투단으로 분산되었다.[15]
제1기갑여단전투단이 1965년 7월부터 맡아온 한반도 방어 임무를 맡은지 약 50주년이 되는 2015년 7월 해체되었다. 대신, 미국 본토의 다른 기갑 여단전투단이 6개월 간 순차적으로 배치된다.[16]
2015년 9월, 제3여단전투단이 제1여단전투단으로 재편성되었다.
사단 본부
예하부대
- 제1여단전투단 (중장비/기갑) "Iron→강철"; 2005년 6월 16일, 여단 전투단화[2] ~ 2015년 7월 해산.


- 제3여단전투단 (스트라이커) "Arrowhead/Raiders/Ghost"; 2005년 7월 27일 여단 전투단화[3] ~ 2015년 9월, 제1여단전투단로 재조정됨(Reflagged).
- 특수병력대대
- 제3보병연대 2대대
- 제20보병연대 5대대
- 제23보병연대 1대대
- 제14기병연대 1전대
- 제37야전포병연대 1대대
- 제296여단지원대대[13]
제52보병연대 C중대
- 제18공병중대
- 제334통신중대
- 제209군사정보중대

- 제4여단전투단 (스트라이커) "Raiders→습격자들"; 2006년 ~ 2014년 4월 해산
- 특수병력대대
제9보병연대 4대대
제23보병연대 2대대
제38보병연대 1대대
제1기병연대 2전대
- 제12야전포병연대 2대대
- 제202여단지원대대; 2006년 창설 ~ 2009년 해산
- 제702여단지원대대; 2009년, 202를 대채함 ~ 2014년 4월 해산[8]
제52보병연대 F중대 (대전차)
- 제38공병중대
- 제472통신중대
제45군사정보중대
- 제5여단전투단 "Strike, Destroy" ; 2007년 5월 4일 ~ 2010년 7월 22일, 제2여단전투단으로 재조정(Reflagged)됨.[19]
제2보병사단 전투항공여단제2전투항공여단의 문장 - 제2항공연대 1대대
- 제2항공연대 2대대
- 제2항공연대 3대대
- 제2항공연대 4대대
- 제602항공지원대대[14]
- 제164항공통제근무단
지원부대
제210화력여단; 2006년11월 30일 제2화력여단에서 재조정됨[20]제210야전포병여단의 어깨 소매 휘장 - 제37야전포병연대 6대대
- 제38야전포병연대 1대대
제702여단지원대대; 2005년 5월 26일 전속 ~ 2007년 9월 해산[8]
- 제70여단지원대대; 2007년 9월 창설 및 위를 대채함
- 제579통신중대
제501지원여단; 2006년 10월 13일 개편 ~ 2015년 12월 17일 사단 지원여단으로 개편.제501지원여단의 어깨 소매 휘장 - 제501특수병력대대
- 본부 및 본부중대, 캠프 캐롤
- 제194전투유지지원대대(옛 "제194정비대대")
- 본부 및 본부중대, 캠프 험프리스
- 제46수송중대, 캠프 스텐리
- 제61정비중대, 캠프 스텐리
- 제348병참중대, 캠프 험프리스
- 제520정비중대, 캠프 험프리스
- 제498전투유지지원대대 (옛 "제227정비대대"); 2015년 12월 17일 주한 물자지원사령부(MSC-K)로 전속됨.
- 본부 및 본부중대, 캠프 캐롤
- 제551내지화물수송중대, 캠프 캐롤
- 제501특수병력대대
Remove ads
참고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