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미기와 다리

일본의 만화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미기와 다리
Remove ads

미기와 다리》(일본어: ミギとダリ 미기토 다리[*])는 사노 나미가 지은 일본만화 작품이다. 《하루타》(KADOKAWA)에서 Vol.46부터 Vol.89까지 연재되었다.[1][2]

간략 정보 장르, 작가 ...

사노 나미가 2023년 8월 5일에 암으로 사망했으므로, 이 만화가 마지막 작품이다.[3]

Remove ads

줄거리

아이가 없는 소노야마 부부는 어느 날 '히토리'라는 미소년을 입양한다. 그러나 '히토리'의 정체는 미기와 다리라는 쌍둥이 소년으로 교묘하게 바뀌면서 둘이서 한 인물을 연기하고 있었다. 쌍둥이의 목적은 소노야마 가문이 사는 마을에 있어야 할 어머니를 죽인 범인을 찾아내 앙갚음하는 것이었다.

등장인물

미기(ミギ)
성우 - 호리에 슌[4]
주인공. 앞머리의 가르마가 오른쪽에 나 있다. 형 다리와 협력해 한 인간 '히토리'로 소노야마 가문의 양자가 된다. 다리와 달리 감정 표현이 풍부하다.
다리(ダリ)
성우 - 무라세 아유무[4]
주인공. 앞머리의 가르마가 왼쪽에 나 있다. 동생 미기와 협력해 한 인간 '히토리'로 소노야마 가문의 양자가 된다. 동생 생각으로 사물을 냉정하게 살피는 두뇌파지만 형으로서 미기 앞에서는 강해질 때도 있다.
소노야마 오사무(園山修)
성우 - 마츠야마 타카시
히토리의 양아버지. 아이들에게 축복받지 못한 채 늙었기 때문에 아내와 상담한 후 고아를 한 명만 입양하기로 한다.
소노야마 요코(園山洋子)
성우 - 미츠이시 코토노
히토리의 양어머니. 요리를 잘한다. 젊었을 때는 엄청난 미인이었다.
서딘(サーディン)
성우 - 마츠야마 타카시
소노야마 부부가 키우는 개.
미츠야마(光山)
성우 - 사이토 키미코
통칭 '밋짱'. 이웃 마을에 사는 출장 가정부.
아키야마 슌페이(秋山俊平)
성우 - 아사누마 신타로[5]
비행기나 새를 좋아하는 히토리의 학우. 새가 되고 싶다고 생각해, 그 방법을 모색해도 몰두해 주위가 보이지 않게 되기도 한다.
츠츠미 마루타(堤丸太)
성우 - 타케우치 슌스케[5]
첨단 기기를 좋아하는 히토리의 학우. 응석받이로 자랐기 때문에 어쨌든 이기주의자다.
이치조 에이지(一条瑛二)
성우 - 카와니시 켄고[5]
성적 우수, 외모 단정. 마을 사람들의 동경을 받는 이치조 가문의 장남. 주위에게 모범적인 소년으로 인지되고 있다.
이치조 레이코(一条怜子)
성우 - 박로미
에이지의 어머니.
이치조 카렌(一条華怜)
성우 - 세키네 아키라
에이지의 여동생.
Remove ads

서지 정보

  • 사노 나미 《미기와 다리》 KADOKAWA 〈하루타 코믹스〉, 전 7권
    1. 2018년 5월 15일[6], ISBN 978-4-04-734836-3
    2. 2018년 9월 15일[7], ISBN 978-4-04-735350-3
    3. 2019년 8월 10일[8], ISBN 978-4-04-735623-8
    4. 2020년 2월 15일[9], ISBN 978-4-04-736022-8
    5. 2020년 10월 15일[10], ISBN 978-4-04-736112-6
    6. 2021년 7월 15일[11], ISBN 978-4-04-736634-3
    7. 2021년 12월 15일[12], ISBN 978-4-04-736846-0

TV 애니메이션

요약
관점

2021년 12월 13일에 애니화가 발표되었다.[13] 2023년 10월부터 12월까지 AT-X 등에서 방송되었다.[14] 방송 전에 원작자 사노 나미가 갑자기 사망했다.[15] 사노는 애니메이션의 감수나 아후레코(アフレコ) 현장에의 입회도 실시하고 있었다. 또한 엔딩에서는 사노가 생전에 그린 일러스트가 사용되었다.[16]

  • 원작 - 사노 나미[14]
  • 감독·시리즈 구성·음향 감독 - 만큐(まんきゅう)[14]
  • 부감독 - 에노모토 마모루(榎本 守)[14]
  • 캐릭터 디자인·총작화 감독 - 니시하타 아유미(西畑あゆみ)[14]
  • 의상 디자인 - 혼다 에미(本多恵美), 미츠와카 타카요(満若たかよ), 후지이 노조무(藤井 望)[14]
  • 프롭 디자인 - Color&Smile[14]
  • 미술 설정 - 히라미네 미키야(平義樹弥)[14]
  • 미술 감독 - 와카바야시 리사(若林里紗)[14]
  • 색채 설계 - 노보리 하루코(のぼりはるこ)[14]
  • 3D 감독 - 오가와 코헤이(小川耕平)[14]
  • 촬영 감독 - 와타나베 미카(渡辺実花)[14]
  • 편집 - 고토 마사히로(後藤正浩)[14]
  • 음악 - 세부 히로코(世武裕子)[14]
  • 음악 제작 - Flying Dog[14]
  • 음향 효과 - 야마타니 나오토(山谷尚人)[14]
  • 음향 제작 - 비트그루브 프로모션[14]
  • 프로듀서 - 타카나시 마이(高梨舞), 曹聡, 니시마에 슈카(西前朱加), 후쿠오 타츠야(福尾龍也), 오카무라 카나코(岡村香名子), 마츠모토 준(松本淳), 후치에 마이코(淵江麻衣子), 후쿠이 노리오(福井詔雄), 사사키 슈타(佐々木秀太)
  • 애니메이션 제작 - GEEKTOYS×CompTown[14]
  • 제작 - 제작위원회 비버즈(TIME, 닛카쓰, NetEase Games, AT-X, 플라잉독, 소츠, 라이브 뷰잉 재팬, 비트 그루브 프로모션, 토에이 비디오)

주제가

마와 노니는 시간(ユウマガドキ)[14]
소라루와 리부에 의한 오프닝 테마. / 작사·작곡·편곡 - 니루 카지츠
Skyline[17]
Nulbarich에 의한 엔딩 테마. / 작사 - Jeremy QuartusとRyan Octaviano / 작곡 - Jeremy Quartus / 편곡 - Jeremy Quartus, Ethan Augustin

고전음악 삽입곡

방영 목록

자세한 정보 화수, 제목 ...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