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미르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미르잠(Mirzam)[13] 또는 큰개자리 베타(β CMa)는 큰개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약 500 광년(약 150 파섹) 떨어져 있는 항성이다.[3] 근대 별자리에서 미르잠은 '개의 앞발' 부위에 해당된다.
Remove ads
명칭
큰개자리 베타(Beta Canis Majoris)는 바이어 명명법에 따른 표기이다. 전통적으로 불려오던 이름 미르잠(Mirzam) 또는 알-무르짐(Al-Murzim), 무르짐(Murzim)은[1] 아랍어 مرزم ('전령')에서 온 것으로 이 명칭은 미르잠이 밤하늘에서 시리우스가 뜨는 것을 '미리 알리는'(시리우스보다 먼저 떠오르는) 위치에 착안하여 붙여졌을 가능성이 있다. 2016년 국제천문연맹의 항성명칭 워킹그룹(WGSN)은 2016년 7월 1차 공고에서 이 별에 미르잠 Mirzam 을 공식 고유명칭으로 부여하였다.[14][15]
중화권에서 미르잠은 큰개자리 누3, 큰개자리 15, 큰개자리 파이, 큰개자리 오미크론1, 큰개자리 크시1과 함께 군시(軍市, 군인을 대상으로 하는 시장)의 구성원이다.[16] 이들 중 미르잠 하나만을 일컫는 이름은 군시1(軍市一)이다.[17] R. H. Allen은 이 명칭으로부터 미르잠의 이름을 Kuen She 로 표기했다.[1]
둔황 성도에는 미르잠이 Yeji ('장끼' 의미)로 표기되어 있으며 당대에는 이 별이 현재 위치보다 약 10 도 북쪽에 위치해 있었음을 알 수 있다.[18]
Remove ads
특성

미르잠은 세페우스자리 베타형 변광성으로 6 시간 주기로 겉보기등급이 +1.97과 +2.01 사이에서 변동한다. 이 밝기 변화량은 너무 작아서 맨눈으로 감지할 수 없다. 광도에 이런 변동이 일어나는 이유는 항성의 외포층이 주기적으로 맥동하기 때문이다. 이 맥동 주기는 총 세 가지로 셋 다 주기가 약 6 시간이다. 이들 중 진폭이 큰 주기 둘은 합쳐져서 다시 약 50 일 주기의 맥놀이 주기를 갖는다. 가장 강한 맥동은 방사형 처음 배진동(radial first overtone)의 형태이며 두 번째 맥동은 비방사형 형태이다.[9]
이 별의 질량은 약 태양의 13 ~ 14 배이며[9] 반지름은 태양의 8 ~ 11 배이다.[8] 항성 외포층의 유효온도는 약 23150 켈빈으로 태양의 5778 켈빈보다 훨씬 뜨겁다. 전자의 높은 온도에서 방출되는 에너지로 인해 항성은 B형 별의 특징인 청백색 빛을 뿜는다.[12][20] 미르잠의 예상 나이는 1200 ~ 1300 만 년으로 미르잠 정도 질량의 항성은 거성으로 진화한 단계에 해당된다. 항성의 분광형 B1 II-III[10]은 이 별이 스펙트럼상으로 거성과 밝은 거성의 중간 단계에 위치해 있음을 뜻한다.
유럽 우주국의 히파르코스 위성의 관측 결과에 따르면, 미르잠은 450만 년 전 지구와 불과 40 광년밖에 떨어져 있지 않았다. 이 당시 미르잠은 밤하늘에서 -3.6 등급의 밝기로 빛나고 있었는데, 이는 금성의 밝기와 거의 비슷한 값이다.[21]
Remove ads
문화
미르잠은 브라질의 국기에 있는 항성들 중 하나로 아마파주를 상징한다.[22]
무르짐 (AK-95) Murzim (AK-95)는 미국 해군 크레이터급 화물선으로 이 별의 고유 명칭들 중 하나를 따라 명명되었다.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