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미수말파어족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미수말파어족(영어: Misumalpan languages)은 니카라과 동해안과 인근 지역의 원주민 언어들이 이루는 작은 어족이다. ‘미수말파’는 존 올든 메이슨이 지은 이름이며, 미수말파어족의 세 갈래인 미스키토어, 수모어군, 마타갈파어군의 이름에서 따온 음절로 되어 있다.[2] 1920년에 민속학자 발터 레만이 처음 발견하였다. 마타갈파어군에 속하는 언어들은 모두 사멸했지만 미스키토어와 수모어군은 살아 있다. 미스키토어는 화자 수가 약 20만 명에 달하며 모스키토 해안의 다른 원주민 언어 화자들도 제2언어로 사용한다. 케네스 헤일에 따르면[3] 수모어군 언어 화자들은 대부분 미스키토어도 구사한다.
Kaufman (1990)은 미수말파어족이 확대 치브차어족에 속한다는 가설이 “설득력 있다”고 하지만, 미수말파어족 전문가인 케네스 헤일은 치브차어족과 미수말파어족 사이의 관계가 “증명하기에는 너무 멀다”고 여긴다.[3]. 한편 최근의 연구(Jolkesky 2017:45-54)는 미수말파어족과 호크어족을 연결지을 증거를 찾았다고 주장한다.
Remove ads
분류
미스키토족이 모스키토 해안을 식민화한 영국 제국과 연합한 결과로 미스키토어는 17세기 후반부터 모스키토 해안의 주된 언어가 되었다. 니카라과 동북부에서 미스키토어는 지금도 수모어군을 몰아내고 있다. 미스키토어의 사회언어학적 지위는 니카라과 동남부의 영어 기반 크리올보다 낮으며, 이 지역에서 미스키토어는 밀려나는 것으로 보인다. 수모어군은 쓰이는 지역 대부분에서 소멸 위기이다. 미스키토어가 부상하기 전까지는 해당 지역의 주된 언어였다는 증거도 있지만 말이다. 마타갈파어군은 오래전에 사멸했으며 기록이 많이 남아 있지 않다.
미수말파 언어의 음소 목록은 모두 같지만 음소배열론은 차이가 난다. 자음은 p, b, t, d, k, s, h, w, y, 그리고 m, n, ŋ, l, r과 그에 대응하는 무성 자음이다. 모음은 a, i, u의 장모음과 단모음이다.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참고 문헌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