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미크맥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미크맥어(Míkmawísimk)는 동부 알곤킨어군에 속한 원주민 언어로, 캐나다와 미국에 사는 2만 명의 미크맥족 중 1만1천 명이 사용하고 있다.[1][2] 미크맥(Mi'kmaq)이라는 단어는 "우리들의 친구"(단수형 Míkm[3])라는 의미로 형용사형이 Míkmaw[4], 이 단어의 미크맥어에서의 자칭이 Míkmawísimk[5] 또는 Míkmwei[6](몇 개의 방언에서)이다.
정서법

미크맥어의 로마자에 의한 표기방식은 19세기에 선교사들에 의해서 몇 가지 표기법이 고려되었다. 이전에는 이 언어는 미크맥 상형 문자라고 하는 부분적으로 독자방법으로 쓰여 있었다. 프랜시스 스미스(Francis-Smith) 정서법은 1974년에 개발되어 1980년에 미크맥 네이션의 공식정서법으로 채용되었다. 이것이 가장 광범히 사용되는 정서법으로, 노바스코샤주의 미크맥 족과 미크맥 그랜드 컨실(Míkmaq Grand Council)에서 사용된다. 이것과 많이 닮은 것이 "Lexicon"정서법이며, 차이는 모음의 길이를 나타내는 것에 아포스트로피‹ ' ›또는 양부호‹ ´ ›대신에 기호‹ : ›를 사용하는 것뿐이다. 프랜시스 스미스 정서법이 개발되었던 당초에 아포스트로피(자주 "tick"이라고 일컬어진다)가 모음의 길이부호로 지정되어 있었지만,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 실수해서 tick을 컬리 아포스트로피로의 자동수정해버렸기 때문에, 양부호에 의한 이차적 수단이 정식으로 용인되었다.
Remove ads
각주
참고자료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