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민백미꽃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민백미꽃
Remove ads

민백미꽃(Vincetoxicum acuminatifolium)은 쌍떡잎식물 용담목 박주가리과여러해살이 초본이며 여러해살이풀이다.[1] 한국 각처의 에서 자란다.

간략 정보 민백미꽃, 생물 분류ℹ️ ...


특징

민백미꽃의 생육환경은 반그늘진 곳이며 빠짐이 좋은 토양에서 자란다. 키는 30에서 60cm이고 잎의 길이는 8에서 15cm, 폭은 4에서 8cm이다. 잎의 양면에 잔털이 있으며 타원형이고 마주난다. 백색 은 지름이 약 2cm이고 원줄기 끝과 윗부분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며 펼쳐지듯 꽃이 달린다. 꽃 속에 들어있는 백색은 삼각형 모양이고 다섯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8월에서 9월경에 달린다. 종자가 익으면 흰색털이 달린다.[2]

쓰임새

민백미꽃은 관상용과 약용으로 쓰인다.[3] 민백미꽃의 뿌리를 한방에서 백전이라는 약재로 쓰인다. 이 약재는 진해, 거담에 효과가 있으며 기침이 심하거나 가래가 많을 때 사용한다.풍증이나 놀란 증상들을 치료하는데 쓰인다.

번식 및 관리법

번식법

민백미꽃의 종자를 9월에 받아 두었다가 화분에 바로 뿌리거나 종자를 싸서 냉장보관 한 뒤 이듬해 봄에 뿌린다. 포기나누기는 이듬해 봄이나 가을에 한다.[2]

관리법

민백미꽃은 화단이나 화분에 심어서 기르는 것이 좋으며 물은 2~3일 간격으로 준다.[2]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