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덴 내각(독일어: Kabinett Baden 카비네트 바덴[*])은 독일 제국의 마지막 국가정부다. 1918년 10월 3일 독일 황제 빌헬름 2세가 막시밀리안 폰 바덴 공자를 국가수상에 임명하면서 그 다음날인 10월 4일에 조각되었다.[1] 독일 사회민주당(SPD) 당원이 각료로 입각한 최초의 내각이며, 1918년 10월 말 개헌이 이루어지면서 독일 최초로 의회에 대해 책임을 지게 된 내각이기도 하다. 바덴 내각 이전의 내각들은 모두 황제에게만 책임을 졌다.[2][3]:6
11월 9일, 혁명이 터지면서 폰 바덴 공자는 수상에서 사퇴함과 동시에 황제의 퇴위를 선언했다. 사회민주당의 프리드리히 에베르트가 인민대표평의회라는 혁명내각을 꾸려 그 수반이 되었다.[4]:83–90
자세한 정보 직책, 성명 ...
각료구성[5][6]
직책 |
성명 |
재임기간 |
정당 |
국가수상 Reichskanzler |
막시밀리안 폰 바덴 공자 |
1918년 10월 4일-1918년 11월 9일 |
| 무소속 |
부수상 Vizekanzler |
프리드리히 폰 파이어 |
1918년 10월 4일-1918년 11월 9일 |
| 진보인민당 |
외무청차관 Staatssekretär im Auswärtigen Amt |
빌헬름 하인리히 졸프 |
1918년 10월 4일-1918년 12월 13일 |
| 무소속 |
내무국가청차관 Staatssekretäre des Reichsamts des Innern |
막스 발라프 |
1918년 10월 4일-1918년 10월 6일 |
| 무소속 |
카를 트림보른 |
1918년 10월 6일-1918년 11월 15일 |
| 중앙당 |
국가법무청차관 Staatssekretäre des Reichsjustizamtes |
파울 폰 크라우제 |
1918년 10월 4일-1919년 2월 13일 |
| 무소속 |
국가해군청차관 Staatssekretäre im Reichsmarineamt |
에른스트 카를 아우구스트 클레멘스 폰 만 기사 |
1918년 10월 4일-1918년 11월 9일 |
| 무소속 |
국가경제청차관 Staatssekretäre im Reichswirtschaftamt |
한스 카를 폰 슈타인 추 노르트 운트 오스타임 남작 |
1918년 10월 4일-1918년 11월 14일 |
| 무소속 |
전쟁식량청차관 Staatssekretär im Kriegsernährungsamt |
빌헬름 폰 발도우 |
1918년 10월 4일-1918년 11월 14일 |
| 무소속 |
국가노동청차관 Staatssekretär des Reichsarbeitsamtes |
구스타프 바우어 |
1918년 10월 4일-1919년 2월 13일 |
| 사회민주당 |
국가체신청차관 Staatssekretäre des Reichspostamtes |
오토 뤼들린 |
1918년 10월 4일-1919년 2월 13일 |
| 무소속 |
국가대장청차관 Staatssekretäre des Reichsschatzamtes |
지크프리트 폰 뢰데른 백작 |
1918년 10월 4일-1918년 11월 14일 |
| 무소속 |
국가식민청차관 Staatssekretäre des Reichskolonialamtes |
빌헬름 하인리히 졸프 |
1918년 10월 4일-1918년 12월 13일 |
| 무소속 |
무임소차관 Staatssekretär ohne Geschäftsbereich |
필리프 샤이데만 |
|
| 사회민주당 |
마티아스 에르츠베르거 |
|
| 중앙당 |
아돌프 그뢰버 |
|
| 중앙당 |
콘라트 하우스만 |
|
| 진보인민당 |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