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박만서

한국의 법조인 (1879–1924)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박만서(朴晩緖, 1879년 음력 6월 1일~1924년 양력 4월 25일)는 구한말과 일제강점기의 법조인이다. 본관은 반남이다.

간략 정보 박만서, 국적 ...

가족관계

  • 증조부 : 박제선(朴齊先)
    • 조부 : 박근양(朴近陽)
      • 생부 : 박용우(朴用雨) 양부 : 박영준(朴泳俊)

생애

1895년박영효가 주도해 구성한 관비유학생으로 뽑혀 일본게이오의숙으로 유학한 개화파 계열의 인물이었다. 게이오의숙 보통과를 졸업하고 1897년부터는 도쿄법학원에 입학해 3년간 법률을 공부했다.

일본의 재판소 견습까지 마친 뒤 1901년에 귀국하여 법조 계열에서 근무했다. 1906년 법부의 법률기초위원으로 임명되었고, 1906년에는 평리원 판사와 법관양성소 교관이 되었다.

이 무렵은 항일 의병운동이 활동할 때였는데, 박만서는 평리원 판사와 경성지방재판소 판사(1907년) 등을 지내면서 의병 재판에서 대부분 중형을 선고했다. 박만수에게 재판을 받은 의병장 중 상당수는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국가유공자 공훈을 추서받았다.

1909년부터 변호사 등록을 하고 변호사로 일했으며, 1921년조선변호사협회 창립총회가 열렸을 때 14인의 평의원 중 한 명으로 참여했다.

Remove ads

의병 재판

박만서가 판사로 근무하면서 담당한 의병 사건은 약 24건이다. 이 가운데 해당 의병장이 징역 또는 유형 5년 이상의 중형을 선고받았고, 대한민국 국가보훈처가 훈장을 수여한 주요 사건 내역은 다음과 같다.

자세한 정보 재판 날짜, 의병장 이름 ...

사후

2007년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공식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 중 사법 부문에 선정되었다. 2008년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참고 자료

  •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2007년 12월). 박만서 (PDF). 2007년도 조사보고서 II - 친일반민족행위결정이유서. 서울. 1110~1128쪽쪽. 발간등록번호 11-1560010-0000002-10.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