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박이소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박이소(朴異素, 1957년 6월 23일 ~ 2004년 4월 26일)는 대한민국의 현대미술 작가이다. 주로 개념미술가, 설치미술가로 분류된다
생애
박이소, 본명 박철호(朴哲浩), 필명 박모(朴某)는 1957년 6월 23일 부산광역시에서 태어났다. 1981년 홍익대학교 서양화과를 졸업하고 1982년 ∼ 1985년 미국 뉴욕의 프랫 인스티튜트에서 회화를 전공하였다. 1985년 대학원 졸업 후 뉴욕 브루클린 그린포인트지역에서 대안 전시공간인 마이너 인저리(Minor Injury)를 설립하여 운영하였다.[1] 뉴욕에서는 본명인 박철호대신 박모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다.[2] 1995년 SADI(Samsung Art & Design Institute)에서 교수로 일하기 위해 한국에 돌아오면서부터는 박이소라는 이름을 사용하였다.
박이소의 예술 활동은 크게 1980년대 ~ 1990년대 미국 뉴욕에서 박모라는 가명으로 활동하던 시기와 한국으로 귀국해 박이소로 활동했던 2000년대 이후로 나뉜다.[3] 2004년 4월 26일 서울 청담동 자신의 작업실에서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났다[3] 1995년 귀국후 본명인 박철호나 뉴욕에서의 예명인 박모대신 박이소라는 이름을 사용했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박이소로 가장 많이 소개된다.[4][5][6][7]
1997년 광주비엔날레에 출품하였고, 2001년 ‘대안공간 풀’에서 개인전을 열었다. 2001년 요코하마 트리엔날레에 작품을 출품하였고, 2002년 에르메스 재단 미술상을 수상했으며, 2003년 베니스비엔날레에 한국작가로 초빙되어 자본주의를 풍자와 냉소로 표현한 작품인 <2010년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 10선>을 출품하여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대표적인 작품으로 <무제, 1994년>, <호모 아이덴트로푸스, 1994년>, <세잔의 무게, 1995>,,<유엔탑, 1997년>,,<미확인 발광물체, 1998년> 등이다.[8]
Remove ads
전시
개인전
단체전
- 2015년 쓰리스타쑈 (인디프레스)
수상
저술
저서
- 2014년 《박이소 : 설치를 위한 드로잉》
역서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