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박인수 (조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박인수(朴仁壽: 1521년~1592년[1])는 조선의 문인이다. 본관은 개성, 자(字)는 덕로(德老)이다.[2] 아버지는 박련(朴連)이고, 어머니는 한씨(韓氏)이다.[3] 박예수(朴禮壽)의 형이다.[4] 서울에서 살았다.[5]

간략 정보 박인수朴仁壽, 별명 ...
Remove ads

이력

유몽인의 《어우야담》에는 그가 신벌(申橃)의 노비라고 되어 있다.[6] 그리고 아우와 함께 시전에서 비단을 파는 상인이라고 설명한다.[7]

수암 박지화에게서 감화를 받아 장사를 그만두고 척암(惕庵) 김근공에게 나아가 《소학》, 《대학》 등과 같은 유교 경전을 배웠다.[8]

당대의 명류들이 그와 교유했다.[9]

평소에 방 하나를 정돈해서 왼편에는 거문고, 오른편에 책을 놓아두고 살았다.[10]

신흠의 기록에 그의 행실이 자세하게 쓰여있다.[11]

1592년(선조 25년) 봄에 신흠을 만난 적이 있다.[12] 같은 해 4월에 임진왜란이 일어나고 몇 달 안 있어 병으로 죽었으며, 선영(조상의 무덤) 곁에 묻혔다.[13]

가계[14]

  • 아버지: 박련(朴連)
  • 어머니: 한씨(韓氏)
    • 본인: 박인수
    • 아내: 장씨(張氏)
      • 아들: 박기원(朴奇元) - 가선대부까지 이름
        • 첫째 손자: 박경남(朴敬男)
        • 둘째 손자: 박효남(朴孝男)
        • 셋째 손자: 박제남(朴悌男)
        • 넷째 손자: 박성남(朴成男)
        • 막내 손자: 박의남(朴義男)
      • 맏딸: 상궁(尙宮)[15] 박씨
      • 둘째·막내딸: 일찍 사망
    • 아우: 박예수(朴禮壽)

전기 자료

  • 신흠, 《상촌집》 권25, 박생 묘표
  • 성문준, 《창랑집》 권4, 박생 묘표

참고 자료

  • 유몽인 지음, 신익철 외 3인 옮김, 《어우야담》, 돌베개, 2006
  • 신흠의 《상촌집》
  • 성혼의 《우계집》
  • 성문준의 《창랑집》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