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박철주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박철주(영어: Chull-joo Park)는 대한민국의 외교관이다. 2020년 12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제11대 주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한민국 대사를 지냈고,[3] 그 이전에는 2017년 11월부터 주 유엔 대한민국 대표부 차석대사(대사)로 재직하였다.[1] 남아공 주재 대사로 재임하는 동안 레소토·보츠와나를 겸임했고,[3] 2021년 4월 14일 시릴 라마포사 남아공 대통령에게 신임장을 제출하였다.[4] 2024년 1월부터는 양동한 대사가 후임으로 부임하였다.[5]
Remove ads
생애
박철주는 1991년에 대한민국 외무부에서 경력을 시작하였다.[6] 2010년에는 주유엔대표부 법률담당 참사관으로서 유엔 내부 사법제도 관련 안건(제6위원회) 발언을 했고,[7] 2011년에는 유엔 제5위원회 ‘유엔 재정현황 개선’ 안건에서 대한민국을 대표해 발언하였다.[8] 2017년 11월 16일 자로 주 유엔 대한민국 대표부 차석대사(대사)로 임명되어 다자외교 현안을 담당했다.[1] 2020년 12월 주남아프리카공화국 대사로 부임하여 2023년 12월까지 재임하였다.[3][2]
경력
- 1991년: 대한민국 외무부 입부(경력 외교관)[6]
- 2010년 11월: 주 유엔 대한민국 대표부 법률담당 참사관(제6위원회) — 유엔 내부 사법제도 안건 발언[7]
- 2011년 5월: 주 유엔 대한민국 대표부 참사관(제5위원회) — ‘유엔 재정현황’ 안건 발언[8]
- 2011년: 유엔 프로그램조정위원회(CPC) 51차 회기 보고관(Rapporteur)[9]
- 2017년 11월 16일 – 2020년: 주 유엔 대한민국 대표부 차석대사(대사)[1]
- 2020년 11월: 유엔 운영지원국(UN DOS)과 공동으로 마스크 기증 행사 참여(대한민국 대표)[10]
- 2020년 12월: 제11대 주남아프리카공화국 대한민국 대사 부임[3]
- 2021년 4월 14일: 남아공 대통령에게 신임장 제출[4]
- 2022년 12월 8일: 레소토 총리·외교장관 예방(겸임국 활동)[11]
- 2023년 2월 1일: 보츠와나 외교장관 예방(겸임국 활동)[12]
- 2023년 12월 29일: 주남아공 대사 임기 종료[2]
Remove ads
주 유엔 대표부
박철주는 다자외교 분야에서 법률·예산·행정 의제를 맡아 활동했다. 2010년 유엔 내부 사법제도 개선을 주제로 제6위원회에서 발언했고,[7] 2011년에는 제5위원회 ‘유엔 재정현황’ 안건에서 재정 건전성과 분담금 이행을 강조하였다.[8] 같은 해 유엔 프로그램조정위원회(CPC) 51차 회기에서 보고관을 맡아 위원회 업무조정에 참여했다.[9] 2017년 11월부터 차석대사로 재직하며 유엔 관련 각종 포럼과 부대행사에서 대한민국의 입장을 설명했는데, 예컨대 2019년 2월 ‘SDG 10 불평등 해소’ 조찬간담회에 개회 연사로 참여하였다.[13] 또한 2020년에는 유엔 운영지원국과의 방역물자 기증 협력에 참여하였다.[10]
주남아프리카공화국 대사 재임
부임 및 신임장 제출
2020년 12월 부임 이후 2021년 4월 14일 프리토리아에서 시릴 라마포사 대통령에게 신임장을 제출하였다.[4]
교민 보호·기업 지원 및 공공외교
부임 직후 더반·케이프타운 등 현장을 방문해 교민 보호와 영사 서비스를 점검했고, 지역 한인단체와의 간담회 및 방역물품 지원을 진행하였다.[14] 2021년 1월에는 넬슨 만델라 재단을 방문해 인권 협력과 수교 30주년 기념 프로그램을 논의하였다.[15] 같은 해 3월에는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아프리카협의회 강연에서 한반도 정세를 주제로 온·오프라인 특강을 진행하였다.[16] 또한 태권도 대회 등 문화외교 행사를 통해 한국 문화를 소개하였다.[17]
양자·지역 협력 활동
2022년 8월에는 주남아공 대한민국 대사관·한아프리카재단·남아공국제문제연구소(SAIIA) 공동 주최 세미나에서 기조연설을 맡아 양국의 파트너십과 미래 비전을 제시하였다.[18] 겸임국 업무로는 레소토 총리·외교장관 예방(2022년 12월),[11] 보츠와나 외교장관 예방(2023년 2월)과 교육·복지시설 지원 행사 참석 등이 있다.[12][19] 또, 콰줄루나탈의 평화·분쟁해결 기구 ACCORD를 방문해 지역협력 방안을 논의하였다.[20]
Remove ads
평가 및 수상
교민 보호·기업 지원, 지역사회 연계 공공외교 활동을 수행하였다. 2023년에는 교민사회 추천을 바탕으로 ‘베스트공관장상’을 받았다.[2]
연표
연표 (펼치기)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