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박홍근 (화학자)

대한민국의 과학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박홍근(영어: Hongkun Park, 1967년 ~ )은 한국 태생의 미국 국적 화학자이자 물리학자로서, 현재 하버드 대학교의 화학과, 물리과 Mark Hyman Jr. 석좌교수이다. 그는 나노과학·양자정보과학·양자재료·생체–나노 인터페이스 연구로 잘 알려져 있다.[1][2]

간략 정보 출생, 국적 ...
Remove ads

생애와 교육

박교수는 1990년 서울대학교를 대학 전체 수석으로 졸업하였다. 대한민국 육군 병역을 마친 뒤, 1996년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Richard N. Zare의 지도하에 화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와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에서 A. Paul Alivisatos 및 Paul L. McEuen과 함께 박사후 연구를 수행하였다.[2]

경력

박교수는 1999년 하버드 대학교 조교수로 부임하였다. 2003년 John L. Loeb 자연과학 석좌 부교수로 임명되었고, 2004년에 정교수로 승진하였다. 화학과와 물리학에 공동 임용되어 있으며 Harvard Quantum Science and Engineering Program, 뇌과학센터(Center for Brain Science),[2][3] 브로드 연구소 등과도 연계되어 있다.[4]

연구

박교수의 초기 연구는 단일분자 트랜지스터와 분자 규모 수송 현상을 개척하였다. 2000년 그의 연구팀은 C60 단일분자 트랜지스터에서 나노기계적 진동을 보고하였고,[5] 2002년에는 단일분자 트랜지스터에서 게이트로 조절 가능한 콘도 공명을 관측하였다.[6]

그는 또한 양자 센싱과 나노 규모 NMR에도 기여하였다. 2016년 Science 논문에서 박과 공동저자들은 다이아몬드 기반 양자 센서를 사용해 상온에서 단일 단백질의 핵자기공명 검출과 분광을 시연하였다.[7]

이차원 반도체 이종구조 분야에서 박교수의 연구팀은 상관 전자 위상을 연구했으며, 전이금속 칼코겐화합물 이종구조에서 쌍층 위그너 결정의 형성을 관측하였다.[8]

또한 박교수는 새로운 나노–바이오 인터페이스을 개발하였다. 그의 연구실은 생세포에 생체분자를 전달할 수 있는 수직 실리콘 나노와이어(나노니들)를 시연하였고,[9] 이어 분자 전달과 뉴런·심근세포의 세포내 기록을 가능케 하는 CMOS 나노전극 어레이를 개발하였다.[10] 그는 단일세포 RNA 시퀀싱 초기 파이프라인 개발에도 기여하였다.[11]

수상 및 영예

박교수의 주요 수상과 영예는 다음과 같다.

  • 호암상 (2003).[12]
  • Packard Fellowship for Science and Engineering|Packard Fellowship (2001).[13]
  • NIH Director's Pioneer Award (2008).[14]
  • Vannevar Bush Faculty Fellowship (2016).[15]
  •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석학회원 (2011).[16]
  • 미국 예술과학 아카데미 회원 (2025).[17]

학술 및 전문 활동

박교수는 Nano Letters의 부편집장을 지냈으며, Chemical Society ReviewsChemical Science 등의 자문위원으로 활동했다.[18] 또한 BBVA Foundation Frontiers of Knowledge Awards 기초과학 부문 심사위원으로도 참여하였다.[19]

기업가 활동

박교수는 다이아몬드 기반 양자 센서를 개발하는 Quantum Diamond Technologies, Inc. (QDTI)의 공동창립자이며,[20] 세포 기반 분석을 위한 반도체 플랫폼을 개발하는 하버드 스핀오프 기업 CytoTronics의 공동창립자이다.[21][22] 2021년부터 삼성종합기술원 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선택된 출판물

요약
관점
  • H. Park 외, "Nanomechanical oscillations in a single-C60 transistor," Nature **407** (2000): 57–60.[23]
  • W. Liang, M. P. Shores, M. Bockrath, J. R. Long, H. Park, "Kondo resonance in a single-molecule transistor," Nature **417** (2002): 725–729.[24]
  • I. Lovchinsky 외, "Nuclear magnetic resonance detection and spectroscopy of single proteins using quantum logic," Science **351** (2016): 836–841.[25]
  • Y. Zhou, J. Sung, E. Brutschea, I. Esterlis, Y. Wang, G. Scuri, R. J. Gelly, H. Heo, T. Taniguchi, K. Watanabe, G. Zaránd, M. D. Lukin, P. Kim, E. Demler, H. Park, "Bilayer Wigner crystals in a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 heterostructure," Nature **595** (2021): 48–52.[26]
  • A. K. Shalek, J. T. Robinson, E. S. Karp, J. S. Lee, D.-R. Ahn, M.-H. Yoon, A. Sutton, M. Jorgolli, R. S. Gertner, T. S. Gujral, G. MacBeath, E. G. Yang, H. Park, "Vertical silicon nanowires as a universal platform for delivering biomolecules into living cell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USA **107** (2010): 1870–1875.[27]
  • J. Abbott, T. Ye, L. Qin, M. Jorgolli, R. S. Gertner, D. Ham, H. Park, "CMOS nanoelectrode array for all-electrical intracellular electrophysiological imaging," Nature Nanotechnology **12** (2017): 460–466.[28]
  • A. K. Shalek, R. Satija, X. Adiconis, R. S. Gertner, J. T. Gaublomme, R. Raychowdhury, S. Schwartz, N. Yosef, C. Malboeuf, A. Gnirke, A. Goren, N. Hacohen, J. Z. Levin, H. Park, A. Regev, "Single-cell transcriptomics reveals bimodality in expression and splicing in immune cells," Nature **498** (2013): 236–240.[29]

전체 논문 목록은 https://scholar.google.com/citations?user=f8t5S4UAAAAJ&hl=en 참조.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