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반사관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수학에서, 주어진 집합의 반사관계(反射關係, reflexive relation)는 집합의 모든 원소가 자기 자신에 대해 관계를 가지는 이항관계이다.[1][2]
예를 들어 실수 집합에서 "x와 y가 같다"는 반사관계이다. 왜냐하면 모든 실수는 자기 자신과 같기 때문에, 즉 "x와 x가 같다"라는 관계를 만족하기 때문이다. 반면 "x가 y보다 크다"는 반사관계가 아니다. 왜냐하면 y=x일 때 관계를 만족하지 않기 때문이다. 반사관계는 대칭 관계, 추이적 관계와 함께 동치 관계의 세 조건 중 하나이다.
정의
반사 관계
집합 에 대해 정의된 이항관계 이 모든 에 대해 을 만족할 때, 즉 일 때, 이를 반사관계라 한다. 다르게 말하면, 집합 에 대한 항등 관계(영어: identity relation) 에 대해 일 때 은 반사관계이다.
비반사관계
집합 의 모든 원소가 반사관계를 만족하지 않을 때, 즉, 모든 에 대해 일 때 이항관계 을 비반사관계(영어: irreflexive relation)라 한다.
Remove ads
예시
다음은 반사관계의 예시이다. 즉 y=x이면 다음 관계를 만족한다.
다음은 비반사관계의 예시이다. 즉 y=x이면 다음 관계를 만족하지 않는다.
- "x와 y가 같지 않다"
- "X가 Y의 진부분집합이다"
- "x가 y보다 크다"
- "x가 y보다 작다"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