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
반코마이신에 내성을 보이는 황색포도상구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 포도알균[1](VRSA,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또는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 포도구균 또는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은 반코마이신에 내성을 보이는 황색 포도상구균이며, 황색 포도상구균의 두 번째 변이종이다. 황색포도상구균의 첫 번째 변이종은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이다. 반코마이신이 최신의 항생제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반코마이신내성이 있다는 것은 그만큼 치료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매우 낮아짐을 의미하게 된다.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2년 4월) |
Remove ads
다제 내성균
두가지 이상의 항생제에서 내성을 획득한 다제내성균은 거의 모든 항생제등에서 내성을 획득한 슈퍼박테리아와는 다르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2]
법정
VRSA 감염증은 2000년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되었다.
VRSA 감염증은 2010년 12월 지정감염병으로 지정되었다.[3]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