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반힘줄근

넓적다리의 근육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반힘줄근
Remove ads

반힘줄근(semitendinosus, /ˌsɛmiˌtɛndɪˈnsəs/) 또는 반건양근(半腱樣筋)은 넓적다리 뒤쪽 얕은쪽에 위치한 근육이다. 닿는곳에 매우 긴 힘줄을 가지고 있어 이런 이름이 붙여졌다. 넓적다리의 뒤안쪽에 있으며 반막근이 반힘줄근의 깊은쪽에 있다.

간략 정보 반힘줄근, 정보 ...
Remove ads

구조

닿는곳의 긴 힘줄이 특징적인 반힘줄근은 넓적다리의 뒤안쪽에 위치한다.

궁둥뼈결절의 윗부분에서 반힘줄근은 넙다리두갈래근 긴갈래와 같은 힘줄로 시작되며, 두 근육의 인접한 표면을 이는곳에서 7.5cm 정도의 구간 동안 연결하는 널힘줄도 반힘줄근의 이는곳 역할을 한다.

모양은 방추형이며 넓적다리의 중간보다 약간 아래쪽에서 길고 둥근 힘줄로서 끝난다. 이 힘줄은 다리오금의 안쪽 면을 따라 놓여 있으며 정강뼈안쪽관절융기 주변을 돌아 무릎관절안쪽곁인대를 지나간다. 안쪽곁인대와 반힘줄근의 힘줄은 윤활주머니에 의해 나누어져 있다. 힘줄은 정강뼈몸통 안쪽의 윗부분에 닿는다.

반힘줄근은 반막근보다 얕은쪽에 위치한다. 반막근과 반힘줄근은 그 이는곳과 닿는곳이 매우 가깝다. 그러나 반막근이 반힘줄근보다 더 넓고 납작한 모양이기 때문에 반막근을 표면에서 직접 촉진하는 것이 가능하다.

닿는곳에서 반힘줄근은 다리의 깊은근막으로 연장되며 넙다리빗근 힘줄 뒤쪽, 두덩정강근 힘줄의 아래쪽에 놓이게 된다. 세 근육의 힘줄은 하나로 합쳐져 거위발이라고 불리는 구조물을 형성한다. 거위발의 이름은 이름 그대로 거위의 발처럼 생겼다고 하여 붙여졌다.

신경 분포

엉치신경얼기에서 나온 아래운동신경세포척수신경 L5-S2를 통해 나간다. 엉치신경얼기에서 아래운동신경세포는 궁둥신경을 통해 아래로 주행한다.[1] 궁둥신경은 깊은종아리신경정강신경으로 갈라진다. 정강신경은 다른 햄스트링 근육인 반막근, 넙다리두갈래근과 함께 반힘줄근을 지배한다.[2]

Remove ads

기능

반힘줄근은 넓적다리 뒤쪽에 위치한 세 개의 햄스트링 근육 중 하나이다. 다른 두 햄스트링 근육은 반막근과 넙다리두갈래근이며, 반힘줄근은 두 근육 사이에 놓여 있다. 햄스트링 근육은 모두 무릎을 고정시키고 엉덩관절을 펴는 작용을 한다.

또한 반힘줄근은 무릎이 굽혀져 있을 때 정강뼈를 넙다리뼈에 대해 안쪽으로 돌리며, 엉덩관절이 펴져 있을 때는 넙다리뼈를 안쪽으로 돌린다. 엉덩관절을 굽힐 때는 저항하는 힘을 낸다.[1]

임상적 중요성

반힘줄근/두덩정강근(STG) 힘줄은 무릎인대넙다리네갈래근과 함께 자가이식편으로서 앞십자인대 재건술에 흔히, 그리고 성공적으로 활용되어 왔다.[3] 반힘줄근/두덩정강근 힘줄의 double-bundle technique이나 하나의 힘줄에서 quadruple-bundle technique을 사용하여 대개 충분한 이식편의 크기를 얻을 수 있다.[4]

추가 이미지

같이 보기

참고 문헌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