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발달장애인평생교육센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발달장애인평생교육센터는 학령기 이후 계속 교육을 받고자 하는 성인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별 욕구에 맞는 서비스를 교육 프로그램 등에 포함하여 제공함으로써, 발달장애인의 권리 증진을 도모하고, 직업능력 향상 및 사회적응 교육 등을 제공할 목적으로 설치된 지자체 지정·위탁 기관이다.[1][2]

  • 목표 : 학령기 이후 계속 교육을 받고자 하는 성인 발달장애인을 위해 직업능력 향상과 사회적응 교육 등을 제공하는 평생교육센터 설치ㆍ운영
  • 이용대상 : 학령기 이후(18세 이상) 발달장애인
  • 입학정원 : 센터당 30명 이상, 학업기간 5년
  • 운영인력 : 센터당 12명(센터장1, 교사10, 사무원1) 교사인력 : 학생 3명당 교사 1명 이상
  • 규모 : 센터당 전용면적 500㎡ 이상 (수업실 당 학생 6명이하 권고)
  • 운영방법 : 자치구 공모 (재정부담 비율, 인접시설 활용도, 발달장애인 수 등 고려)
Remove ads

종사자 자격 요건

자세한 정보 직급, 자격요건 ...
Remove ads

설치 현황

자세한 정보 연번, 위 치 ...
Remove ads

운영 현황

요약
관점

인력

양인숙 등의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센터의 평균 선임교사 수는 5.67명이었으며, 교사는 4.13명, 회계직은 0.93명으로 나타났다. 직원의 주요 직종은 사회복지사가 7.86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특수교사 1.8명, 평생교육사 1.13명, 장애인재활상담사 0.6명 순서로 나타났다. 보조인력은 보람일자리 2.06명, 뉴딜일자리 0.44명, 사회복무요원 0.31명, 복지일자리 0.25명 순서로 나타났으며, 하루평균 보조인력은 1.88명으로 나타났다.[3]

클라이언트

이용자의 성별은 평균 남자 이용자 19.33명으로 여자 이용자(평균 9.07명)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20~24세(평균 15.57명)의 이용자가 가장 많았으며, 25~29세 8명, 30~34세 2.43명, 35~39세 1.29명, 40세 이상 1.29명, 20세 미만 0.07명 순서로 나타났다. 장애유형은 지적장애 이용자(평균 16.43명)가 가장 많았으며, 자폐성장애(평균 9.36명)가 두 번째로 많았다.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이용자(평균 25.25명)가 가장 많았으며, 대학교 졸업이용자는 1.54명으로 나타났다. 최종학교 형태는 특수학교 졸업 이용자 평균이 19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특수학급은 2.09명, 통합학급 0.09명 순서로 나타났다. 이용자의 의사소통 수준에서는 무발화 평균이 12.6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단어 또는 짧은 문장 수준발화 평균이 9.57명, 일상적 대화가능 6.86명 순서로 나타났다. 지원의 필요정도는 등하원시 지원필요 이용자 평균이 21.62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도전적 행동지원이 필요한 이용자 평균 8.92명의 순서로 나타났다.[3]

교육 운영시간과 시수

센터 교육 운영시간은 10:00~16:00가 8개소(50.0%)로 가장 많았으며, 1교과 평균시간은 45분이 11개소(68.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1일 평균 수업시수는 11개소(68.7%)가 5교시로 운영하고 있으며, 그 외 기관은 각기 다른 시수로 운영하고 있다. 종사자가 적절하다고 인식하는 1교과 평균시간은 30분 이상 60분 미만이 140명(79.1%)으로 가장 많았으며, 60분 이상이 32명(18.1%), 10분 이상 30분 미만이 5명(2.8%) 순서로 나타났다. 적절한 1일 평균 수업시수 설문에는 5~6시수 응답자가 85명(49.7%)으로 가장 많았으며, 3~4시수로 응답한 수는 71명(41.5%), 1~2시수는 15명(8.8%) 순서로 나타났다. 1교과 평균시간 45분으로 운영하는 기관이 가장 많게 나타났고 종사자의 인식도 또한 30~60분이 가장 적절하다고 응답하였다.[3]

교육목표

센터의 교육목표 1순위로는 일상생활 역량강화가 90명(50.0%)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의미 있는 낮 활동 29명(16.1%), 지역사회참여 21명(11.7%)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2순위로는 지역사회참여가 59명(33.1%), 그 다음으로는 사회적 관계망 형성 및 확대가 27명(15.2%), 의미 있는 낮활동 26명(14.6%)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3]

사건사고

2018년 발달장애인평생교육센터 폭행 사건

2018년 말, 노원발달장애인평생교육센터에서 근무하는 교사 2명이 이용하는 발달장애인을 폭행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센터 내 심리안정실에서 A씨를 번갈아 폭행하는 등 여러 차례 폭력을 행사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해당 센터에서는 센터장 명의의 사과문과 입장문을 올렸다.[4][5]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