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발도대 (군가)
일본군의 군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서남전쟁에서 화력이 우세하던 정부군에 대항하여 사이고군 측에서는 일본도로써 돌격공격을 다용하여 여러 번 백병전이 발생했다. 정부군은 진대병이 대다수를 점하고 있었으므로 주로 징병된 평민으로 구성되어 있던 탓에 이들에게 임시방편으로 가르친 총검술로는 사쓰군병의 시현류에 대항하는 것이 곤란했다. 이에 사족출신자가 많았던 경시대 가운데, 특히 검술에 빼어난 자를 선발하여 발도대를 임시편성하여 다바루자카 전투 등에 투입, 효과를 거두었다. 군가 〈발도대〉는 이 발도대의 활약을 노래한 것이다.
도야마 마사카즈의 가사에 프랑스인 초빙외국인 샤를 르루가 곡을 붙인 것으로 로쿠메이칸에서 열린 대일본음악회연주회에서 1885년(메이지 18년) 발표되었다.[1] 극초기의 일본군가이자 본격적 서양음악이었으므로 이후 다양한 노래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완성도가 높고 민간에서도 폭넓게 애창되었기에 서양 멜로디에 의한 일본의 최초 유행가라고도 할 수 있다.[2] 본곡은 전조를 다용하고 있었으므로 당시의 일본인의 감각으로서는 제법 노래하기 힘든 것이었다. 서양음악이 드물었던 당시 소학교 초등과 음악으로서 사용되기도 했다.
뒷날 병부성의 위촉에 의해 행진곡으로 편곡되어 병부성이 육군성과 해군성으로 개편된 후로는 제국육군의 행진곡으로서 제정되었다(육군성 제정 행진곡). 현재도 육상자위대, 그리고 발도대와 연관깊은 경시청 및 각 도부현경이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육군분열행진곡〉으로 호칭되지만 이 호칭은 작곡 때부터 쓰여온 곡명은 아니다.
본곡을 사용한 행진곡에는 전반부는 그대로 두고 후반을 기병이 관병식에서 행하는 갤럽(이 부분의 선율은 발도대와 무관계하다)에 맞게끔 편곡한 〈관병식행진곡〉이 있다.
Remove ads
가사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