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백무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백무선(白茂線)은 량강도 백암군의 백암청년역과 함경북도 무산군의 무산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연선의 고도 변화가 급해서 협궤로 지어졌으며, 유곡~라적~삼유 구간에는 남한에서는 사라진 스위치백도 있다.
Remove ads
노선 정보
- 구간과 거리 : 백암청년역~무산역 191.7km
- 역 수 : 28개 (양 끝역 포함)
- 궤도 : 762mm(협궤)
- 전철화 구간 : 백암청년역~유곡역(직류 3000V)
- 복선 구간 : 없음
- 폐역 정보
- - 하경평역(下鏡坪驛) : 백암청년역 기점 96.1km 지점에 존재하였음.
- - 함북신장역(咸北新章驛) : 백암청년역 기점 143.4km 지점에 존재하였음.
- - 독소역(篤所驛) : 백암청년역 기점 186.0km 지점에 존재하였음.
역사
조선 총독부는 한반도 전역에 국유 철도망을 건설하는 '조선 철도 12년 계획'을 1927년에 입안하는데[1], 백무선은 해당 계획에 없던 노선이나 원목 수송을 위하여 건설이 결정되었다.
1934년 9월에는 백암역에서 산양대역까지가 개통되었다.[2] 이듬해 9월에는 산양대역에서 연암역까지가 개통되고[3], 1936년 10월에는 유평동역까지 연장되었다. 1939년 10월에는 유평동역에서 연사역까지의 구간에서 영업을 개시하였고[4], 1944년 12월 무산역까지가 준공됨으로써 전 구간이 완공되었다.
연혁
Remove ads
역 목록
1945년의 목록이다.
관련 문화
각주
참고 문헌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