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백번의 추억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백번의 추억》은 2025년 9월 13일부터 2025년 10월 19일까지 방송된 JTBC 토일 드라마다.

간략 정보 장르, 방송 국가 ...
Remove ads

프로그램 소개

1980년대를 배경으로 한 이 드라마는 100번 노선 버스의 모범적인 안내양이자 대학 진학을 꿈꾸는 고영례와 카리스마 넘치는 신입생 서종희의 이야기를 따라간다. 두 사람의 우정과 운명적인 첫 사랑이자 부유한 백화점 사장의 아들인 한재필과의 로맨스는 청춘, 사랑, 그리고 성장을 그린 성장 이야기로 이어진다.

제작진

제작사

극본

연출

  • 김상호

등장 인물

주요 인물

  • 김다미 : 고영례 역 - 청아운수 버스안내양, 영배의 누나. 영미의 언니. 영식의 여동생. 만옥의 딸.
  • 신예은 : 서종희 역 - 청아운수 버스안내양
  • 허남준 : 한재필 역 - 정신고등학교 3학년, 상철의 친구.
  • 이원정 : 마상철 역 - 정신고등학교 3학년, 단무지(단순, 무식, 지멋대로)의 전형인 재필의 베프. 좌우명은 케세라세라.
  • 전성우 : 고영식 역 - 대학생, 영례와 영미의 오빠. 영배의 형. 만옥의 아들.

청아운수 사람들

  • 박예니 : 최정분 역 - 청아운수 버스안내양
  • 정보민 : 임호숙 역 - 청아운수 버스안내양, 일명 뺑뺑이 안경(렌즈가 두꺼운, 뱅글뱅글 돌아가는)낀 기숙방 막내로, 충청도 아가씨.
  • 이민지 : 권해자 역 - 청아운수 버스안내양이자 3번방 방장
  • 오우리 : 차옥희 역 - 흡사 2009년 유행했던 개그 코너 '분장실의 강선생님'이 떠오르는 화법의 해자 딸랑이
  • 이재원 : 김정식 역 - 청아운수 버스기사, 반반한 얼굴로 청아운수 안내양들 사이 인기남인 젊은 기사.
  • 김가영 : 계금애 역 - 청아운수 수금원이자 기숙사 사감

영례네 가족

  • 김태빈 (중학생 역: 조이현) : 고영배 역 - 영식과 영례의 남동생, 영미의 오빠. 만옥의 늦둥이 아들.
  • 박지윤 (중학생 역: 김규나) : 고영미 역 - 영식&영례&영배의 여동생, 만옥의 늦늦둥이 딸.

재필네 가족

  • 윤제문 : 한기복 역 - 재필과 세리의 아버지, 만옥의 남편. 다혈질에 성격 급하고 뻑!하면 빽!하는 전형적인 가부장적 아버지.
  • 김지현 : 성만옥 역 - 재필의 새어머니, 세리의 어머니. 기복의 아내.
  • 오은서 (중학생 역: 김태연) : 한세리 역 - 기복과 만옥의 딸, 재필의 여동생. 독재자인 기복과 철벽남인 재필을 무장해제 시키는 유일한 존재.

그 외 인물

  • 신문성 : 관장 역 - 자이언트 복싱장 관장
  • 오승백 : 장덕구 역 - 정신고등학교 3학년, 재필과 같은 고등학교, 같은 복싱장을 다니는 학생.
  • 정재광 : 서종남 역 - 서종희의 오빠.

기타 인물

  • 이다빛나 : 이숙자 역 - 청아운수 버스안내양.
  • 박정연 : 이주경 역 - 화란여고 주간반 학생.
  • 미상 : 무임 승차 학생 1 역
  • 미상 : 한재필의 친어머니 역
  • 이채유 : 수진 역 (7회 ~ 12회) - 최정분의 딸.
  • 서재희 : 미숙 역 (7회 ~ 12회) - 대양그룹의 사모님.
  • 우미화 : 미쉘뷰티살롱 원장 역 (10회 ~ 12회)

특별 출연

  • 김정현 : 정현 역 (1회 ~ 12회) - 대학생, 80년대 푸르른 캠퍼스에 바이시클족(ft. 때때로 엄카를 모는)인 그의 정체는 재벌 3세.
  • 박지환 : 노상식 역 (1회 ~ 6회, 8회 ~ 12회) - 청아운수 노무과장, 청아운수 최고 권력자이자 이 드라마의 제일 나쁜 놈.
  • 이정은 : 박만옥 역 (1회 ~ 12회) - 영식, 영례, 영배, 영미의 어머니
  • 신동미 : 김용희 역 (7회 ~ 12회) - 쥬리미용실 원장.

참고 사항

요약
관점
  • 당시 1982년, 100번 버스는 개봉 여객에서 운영하는 광명에서 영등포 지역을 오가던 버스였다. 그러나 드라마상에서는 동인천을 기점으로 노선을 경영하는 가상의 버스회사인 청아운수가 등장한다. 한편, 실제 100번 노선은 1997년에 폐선됐다.
  • 서종희를 박연진이라고 부른다. 작중 박연진과 성격이 비슷하다.
  • 1975년 영자의 전성시대 이후 50년 만에 버스 안내양이 등장하는 작품으로 1981년 영화 《도시로 간 처녀》도 버스 안내양 소재로 한다.
  • 《백번의 추억》 6회 7년이 흐른 1989년에 고영례가 쥬리 미용실에서 버스 안내양이 아닌 스텝 디자이너로 등장을 한다. 7회에서 대사가 《더글로리》 1회에 박연진 대사인 <고데기 온도 체크 할 땐 코에 대 보면 돼.> 라는 대사를 패러디 한다. 작중 신예은도 《백번의 추억》에 여주인공으로 나온다. 캐릭터 이름은 서종희다.
  • 응답하라 1989년 제목 패러디도 있다.
  • 고영례가 삥땅을 하지도 않았는데 노상식은 윽박을 지르며 폭행까지 행세하고 멱살 까지 잡았으며 그것을 못 견딘 고영례는 노상식을 밀어버린다. 그리고 더 몹쓸 짓을 하는데 그 순간 서종희가 노상식을 만년필로 찔러 쓰러지게 만든거다.
  • 이 프로그램은 레트로, 뉴트로가 합쳐졌다.
  • 노상식은 《검정고무신》에 나오는 똥퍼 아저씨를 닮았다는 소리도 있다. 헤어 스타일과 얼굴이 닮았다. 목소리도 비슷하다.
  • 6회에서 신발을 주면 도망간다는 미신이 있는데 한재필은 서종희에게 신발을 선물을 해줬다. 그 후 서종희는 서로 살아 온 환경도 다르고, 난 엄마, 아빠도 없고 해서 한재필이랑 헤어진다. 그리고 때려 죽이고 싶은 오빠 1명 있지라며 차갑게 한재필을 밀어 낸다. 그 후 땅바닥에서 껌종이를 발견 한다. 한재필이 적힌 껌종이였다.
  • 고영례는 주산과 버스 운전을 잘한다. 1종 보통, 혹시나 몰라서 땄다고 한다. 항상 하는 말이 혹시나 몰라서 땄다다.
  • 고영례 엄마는 달고나 장사를 한다. 《오징어 게임》 패러디로 보인다.
  • 신예은, 박지환은 《탁류》 이후 연속으로 같은 작품에 출연한다.
  • 허남준, 정보민은 《혼례대첩》 이후 2년 만에 같은 작품에 출연한다.
  • 정보민, 신예은, 김다미는 한국에서 보기 어려운 캐스팅이다.
  • 응답하라 1988》에 나오는 배우는 배우 이민지다.
  • 박지환 1980년, 이재원 1986년, 이민지 1988년
  • 《백번의 추억》과 비슷한 영화는 《도시로 간 처녀》이다.
  • 1970 ~ 1980년대 버스 안내양은 고된 근무와 높은 임금, 시골 출신 여성에게 인기 있는 직업 등으로 기억되고 있다.
  • 검정고무신에도 버스 안내양이 나온다. 만화에서 나오는 버스는 주황색 버스다.

  • 6회에 나온 옛날 핫도그는 핫도그가 엄청 컸다. 핫도그 자판기도 있었다. 보통 핫도그는 설탕을 뿌려 먹지만 먹는 사람에 따라 다르다. 빵을 다 먹고 소시지만 따로 먹는 사람이 있다.
  • 극 중 먹는 컵라면은 2025년에도 있는 육개장 컵라면이다.
  • 6회에 고영례는 단발머리가 아니라 긴 웨이브머리로 나온다.
  • 7회 예고편에서 영례를 보고 지나가는 종희가 나왔다. 그리고 재필이는 의사가 되어 나왔다.
  • 1980년대 사람도 오라이를 알지만 1990년대 생도 오라이를 안다.
  • 1980년대인데 식판은 90년대 회색이다. 거의 밥도 2025년 느낌이다. 보통 1980년대면 도시락이다.
  • 6회부터 백번의 추억 시즌 2라고 불린다. 6회부터 1989년 배경이 나온다. 주인공들 직업도 바뀌었다.
  • 1막 《(1회 ~ 6회)》 2막 《(7회 ~ 12회)》
  • 백번의 추억의 100번 버스는 서울, 포항, 부산, 경주, 광주 등 100번 버스가 존재한다. 일본에도 100번 버스가 존재한다. 100번 버스에 실제 백번의 추억 광고를 했었다.
  • 1990년, 2000년대에 롯데 백화점엘리베이터 안내양》 존재 했다. 명칭은 《엘레베이터 걸》이다.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에서 촬영했다.
  • 1989년 미스코리아 선발대회 입상자는 진(眞) 오현경, 선(善) 고현정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그 여배우가 맞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