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백수하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백수하천(영어: whitewater river)은 화학조성, 퇴적물, 물색을 기준으로 분류되는 하천의 범주다. 백수하천은 높은 수준의 부유퇴적물을 가지고 있고, 산성도는 중성에 가까우며, 전기전도도가 높고, 진흙이 섞여 크림커피 같은 색을 띤다.[1] 가장 잘 알려진 백수하천은 아마존강 본류다. 하지만 남미의 다른 지역, 그리고 다른 대륙에도 백수하천들이 있다.[1][2][3][4] 백수하천은 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며, 영세어업의 주무대가 되기도 한다. 아마존강 유역의 범람원들은 백수하천으로부터 물과 영양분을 공급받는다.[5][6]

아마존강의 지류들은 백수・흑수・청수 세 범주로 구분되는데, 이 시스템은 1853년 앨프리드 러셀 월리스가 처음 제안했지만, 1950년대-1980년대에 하랄트 지올리가 화학에 의거한 보다 명확한 정의를 확립시켰다.[7][8][9] 대부분의 아마존 지류들은 분명하게 흑수・청수・백수 중 하나의 범주에 속하지만, 일부 하천에서는 혼합된 특성이 나타나며, 계절 및 홍수에 따라 수질이 달라질 수 있다.[10]
남미 밖에서는 아프리카의 나이저강 본류[11]・청나일강・잠베지강 중하류,[4] 아시아의 메콩강 본류[12]를 비롯해서 남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의 대형 하천의 지류 대부분,[4] 그리고 유럽에서는 다뉴브강의 일부 구간이 백수하천의 성질을 나타낸다.[13]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