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남원 백장암 청동은입사향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남원 백장암 청동은입사향로map
Remove ads

남원 백장암 청동은입사향로(南原 百丈庵 靑銅銀入絲香爐)는 대한민국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백장암에 있는 조선시대의 공예품이다. 1965년 7월 16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420호로 지정되었다.

간략 정보 종목, 수량 ...
Remove ads

개요

향로란 절에서 마음의 때를 씻어주는 의미를 지닌 향을 피우는데 사용하는 기구로 화완·향완이라고도 한다. 향로는 모양에 관계없이 향을 피우는 도구를 총칭하는 말이고 화완, 향완은 밥 그릇모양의 몸체에 나팔모양의 높은 받침대를 갖춘 향로만을 말한다.

백장암청동은입사향로(百丈庵靑銅銀入絲香爐)는 높이 30cm, 입지름 30cm인 이 향로는 몸체와 받침대를 따로 만들어 연결하였고, 전체에 은실을 이용한 장식(은입사)이 훌륭한 작품이다. 입 주위 넓은 테인 전에는 가는 선으로 된 원이 9개가 있고, 그 안에 범자를 새겼고 그 사이에 덩굴무늬를 가득차게 새겼다.

몸통 표면에 이중의 가는 선으로 된 원을 은실로 새기고, 그 안에 5개의 작은 원을 만들고 그 안에 범자를 각각 새겨 넣었다. 원과 원 사이에는 덩굴무늬가 가득 차 있고, 몸통 아래쪽에 두 줄로 18개의 연꽃잎이 있다. 받침대는 2단으로 되어 있으며 ,위에 길쭉한 연꽃잎 6장이 있고 그 아래로 덩굴무늬가 있다.

이 화로에 사용된 은실로 만든 가는 선 모양은 매우 아름다워 놀라울 정도이며, 무늬도 화려하고 우아하다.

입 주위 전 아랫부분에는 글씨가 있어 조선 선조 17년(1584)에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

Remove ads

같이 보기

  • 백장암

참고 자료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