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화 칼슘(Calcium oxide, CaO)은 칼슘의 산화물로 생석회, 생회(生灰), 강회(剛灰), 백회(白灰)라고도 불린다. 일반적으로 탄산 칼슘(CaCO3)을 높은 온도로 가열하면 이산화탄소(CO2)를 잃으며 생성된다.
- CaCO3(s) → CaO(s) + CO2(g) 생석회가 물에 용해되면 물과 반응하여 수산화 칼슘(Ca(OH)2)이 생성되면서 이온화되어 용액이 염기성을 띤다.
- CaO(s) + H2O(l) → Ca(OH)2(s)
|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09년 12월) |

'소석회'라 불리는 화합물에 대해서는
수산화 칼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간략 정보 이름, 식별자 ...
산화 칼슘
 |
 |
이름 |
IUPAC 이름
Calcium oxide |
별칭
Quicklime, burnt lime, unslaked lime, pebble lime, calcia |
식별자 |
|
|
|
|
ChEBI |
|
ChEMBL |
|
ChemSpider |
|
ECHA InfoCard |
100.013.763 |
EC 번호 |
|
E 번호 |
E529 (산도 조절제, ...) |
|
485425 |
KEGG |
|
|
|
RTECS 번호 |
|
UNII |
|
UN 번호 |
1910 |
|
|
InChI=1S/Ca.O Key: ODINCKMPIJJUCX-UHFFFAOYSA-N InChI=1/Ca.O/rCaO/c1-2 Key: ODINCKMPIJJUCX-BFMVISLHAU
|
|
성질 |
|
CaO |
몰 질량 |
56.0774 g/mol |
겉보기 |
White to pale yellow/brown powder |
냄새 |
Odorless |
밀도 |
3.34 g/cm3[1] |
녹는점 |
2,613 °C (4,735 °F; 2,886 K)[1] |
끓는점 |
2,850 °C (5,160 °F; 3,120 K) (100 hPa)[2] |
|
Reacts to form calcium hydroxide |
Methanol에서의 용해도 |
Insoluble (also in 다이에틸 에터, octanol) |
산성도 (pKa) |
12.8 |
|
−15.0×10−6 cm3/mol |
구조 |
|
Cubic, cF8 |
열화학 |
|
40 J·mol−1·K−1[3] |
|
−635 kJ·mol−1[3] |
약리학 |
|
QP53AX18 (WHO) |
위험 |
물질 안전 보건 자료 |
Hazard.com |
GHS 그림문자 |
  |
신호어 |
위험 |
GHS 유해위험문구 |
H302, H314, H315, H318, H335 |
GHS 예방조치문구 |
P260, P261, P264, P270, P271, P280, P301+312, P301+330+331, P302+352, P303+361+353, P304+340, P305+351+338, P310, P312, P321, P330, P332+313, P362, P363, P403+233, P405, P501 |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
|
인화점 |
Non-flammable [4] |
NIOSH (미국 건강 노출 한계): |
|
TWA 5 mg/m3[4] |
|
TWA 2 mg/m3[4] |
IDLH (직접적 위험) |
25 mg/m3[4] |
관련 화합물 |
|
Calcium sulfide Calcium hydroxide Calcium selenide Calcium telluride |
|
Beryllium oxide Magnesium oxide Strontium oxide Barium oxide Radium oxide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닫기
이와 같은 성질 때문에 산성비와 화학 비료 등으로 산성화 된 논이나 밭을 중화시키는 데 많이 이용되었다. 하지만 중화 과정에서의 중화열의 양 및 물에 용해되는 과정에서의 용해열의 양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보관 시 밀폐하여 공기 중의 수분과의 접촉을 피해야 하며, 이온화도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수용액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해야 한다. 이와 같은 주의를 기울이지 않을 시 불이 일어날 수 있으며, 피부 조직에 화상을 입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