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밴텀급 (권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밴텀급(Bantamweight)은 격투 스포츠 및 역도의 체급이다. 복싱의 경우 범위는 115 lb (52.2 kg)를 초과하고 118 lb (53.5 kg)까지다. 킥복싱에서 밴텀급 선수는 일반적으로 53 and 55 킬로그램 (117 and 121 lb) 사이의 체중을 가진다. MMA에서 밴텀급은 126–135 lb (57.2–61.2 kg)이다.
이 체급의 이름은 반탐 닭에서 유래했다.[1] 브라질리언 주짓수에는 그에 상응하는 루스터급이 있다.
복싱
요약
관점
이 체급에서 최초의 글러브를 착용한 세계 타이틀전은 1890년 6월 27일 조지 딕슨과 넌 월러스 사이에 벌어졌으며, 딕슨이 승리하여 초대 세계 밴텀급 챔피언이 되었다. 당시 이 체급의 한계는 110파운드였다. 그러나 1910년 영국은 118파운드로 제한을 정했다.[2]
2018년부터 2019년까지 세계 최고의 밴텀급 선수를 가리기 위해 8인 토너먼트인 월드 복싱 슈퍼 시리즈가 열렸다. 이 토너먼트에서 이노우에 나오야가 결승에서 노니토 도네어를 꺾고 우승했다.
2022년 12월 13일, 이노우에 나오야는 4대 벨트 시대의 첫 밴텀급 통합 챔피언이 되었다.
현재 세계 챔피언
현재 더 링 세계 랭킹
2025년 8월 18일 기준.[3]
범례:
- C 현재 더 링 세계 챔피언
최장기 집권 세계 밴텀급 챔피언
아래는 개인의 최장기 집권 기간으로 측정된 복싱 밴텀급 챔피언 목록이다. 챔피언으로서의 총 경력 기간(다수 챔피언의 경우)은 적용되지 않는다.
- 현재 타이틀 집권 중
- 집권 종료
리니얼 챔피언
조지 딕슨 (1890) 공석
지미 배리 (1897–1899) 은퇴
테리 맥거번 (1899) 공석
해리 해리스 (1901) 공석
해리 포브스 (1901–1903)
프랭키 닐 (1903–1904)
조 보우커 (1904–1905) 공석
지미 월시 (1905–1909)
지미 레이건 (1909)
몬테 애텔 (1909–1910)
프랭키 콘리 (1910–1911)
조니 쿨롱 (1911–1914)
키드 윌리엄스 (1914–1917)
피트 허먼 (1917–20)
조 린치 (1920-21)
피트 허먼 (1921) (2)
조니 버프 (1921-1922)
조 린치 (1922-1924)
에이브 골드스타인 (1924)
에디 마틴 (1924-1925)
찰리 필 로젠버그 (1925-1927) 공석
앨 브라운 (1931-1935)
발타사르 상칠리 (1935-1936)
토니 마리노 (1936)
식스토 에스코바르 (1936-1937)
해리 제프라 (1937-1938)
식스토 에스코바르 (1938-1939) (2) 공석
루 살리카 (1940-1942)
마누엘 오르티스 (1942-1947)
해롤드 데이드 (1947)
마누엘 오르티스 (1947-1950)
빅 토웰 (1950-1952) 남아프리카 공화국
지미 카루더스 (1952-1954) 은퇴
로버트 코헨 (1954-1956)
마리오 다가타 (1956-1957)
알퐁스 할리미 (1957-1959)
호세 베세라 (1959-1960) 은퇴
에데르 조프레 (1961-1965)
하라다 마사히코 (1965-1968)
라이오넬 로즈 (1968-1969)
루벤 올리바레스 (1969-1970)
헤수스 카스티요 (1970-1971)
루벤 올리바레스 (1971-1972) (2)
라파엘 에레라 (1972)
엔리케 핀더 (1972-1973)
로메오 아나야 (1973)
아놀드 테일러 (1973-1974)
홍수환 (1974-1975)
알폰소 사모라 (1975-1977)
호르헤 루한 (1977-1980)
줄리안 솔리스 (1980)
제프 챈들러 (1980-1984)
리처드 산도발 (1984-1986)
호세 카니살레스 (1986)
베르나르도 피냥고 (1986-1987) 공석
이노우에 나오야 (2022-2023) 공석
올림픽 챔피언
- 1904:
올리버 커크 (USA)
- 1908:
헨리 토머스 (GBR)
- 1920:
클래런스 워커 (RSA)
- 1924:
윌리엄 스미스 (RSA)
- 1928:
비토리오 타마니니 (ITA)
- 1932:
호레이스 귄 (CAN)
- 1936:
울데리코 세르고 (ITA)
- 1948:
티보르 치크 (HUN)
- 1952:
펜티 해맬래이넨 (FIN)
- 1956:
볼프강 베흐렌트 (EUA)
- 1960:
올레그 그리고리예프 (URS)
- 1964:
사쿠라이 다카오 (JPN)
- 1968:
발레리 소콜로프 (URS)
- 1972:
오를란도 마르티네스 (CUB)
- 1976:
구용주 (PRK)
- 1980:
후안 에르난데스 (CUB)
- 1984:
마우리지오 스테카 (ITA)
- 1988:
케네디 매키니 (USA)
- 1992:
호엘 카사마요르 (CUB)
- 1996:
이슈트반 코바치 (HUN)
- 2000:
기예르모 리곤도 (CUB)
- 2004:
기예르모 리곤도 (CUB)
- 2008:
엥흐바팅 바다르오강 (MGL)
- 2012:
루크 캠벨 (GBR)
- 2016:
로베이시 라미레스 (CUB)
세계 챔피언
- 1974:
윌프레도 고메스 (PUR)
- 1978:
아돌포 오르타 (CUB)
- 1982:
플로이드 페이버스 (USA)
- 1986:
문성길 (KOR)
- 1989:
엔리케 카리온 (CUB)
- 1991:
세라핌 토도로프 (BUL)
- 1993:
알렉산더르 흐리스토프 (BUL)
- 1995:
라임쿨 말라흐베코프 (RUS)
- 1997:
라임쿨 말라흐베코프 (RUS)
- 1999:
게오르게 올테아누 (ROU)
- 2001:
기예르모 리곤도 (CUB)
- 2003:
아가시 맘마도프 (AZE)
- 2005:
기예르모 리곤도 (CUB)
- 2007:
세르게이 보도퍄노프 (RUS)
- 2009:
데텔린 달라클리에프 (BUL)
- 2011:
라사로 알바레스 (CUB)
- 2013:
자비드 챌라비예프 (AZE)
- 2015:
마이클 콘런 (IRL)
- 2017:
카이라트 예랄리예프 (KAZ)
- 2021:
츠보이 토모야 (JPN)
팬아메리칸 챔피언
- 1951:
리카르도 곤살레스 (ARG)
- 1955:
살바도르 엔리케스 (VEN)
- 1959:
왈도 클라우디아노 (BRA)
- 1963:
아벨 알마라스 (ARG)
- 1967:
후벤시오 마르티네스 (MEX)
- 1971:
페드로 플로레스 (MEX)
- 1975:
오를란도 마르티네스 (CUB)
- 1979:
재키 비어드 (USA)
- 1983:
마누엘 빌체스 (VEN)
- 1987:
마누엘 마르티네스 (CUB)
- 1991:
엔리케 카리온 (CUB)
- 1995:
후안 데스파이네 (CUB)
- 1999:
제럴드 터커 (USA)
- 2003:
다니엘 치우틴 (CUB)
- 2007:
카를로스 쿠아드라스 (MEX)
- 2011:
라사로 알바레스 (CUB)
유럽 챔피언
- 1924:
장 세스
- 1925:
아치 룰
- 1927:
쿠르트 달쇼
- 1928:
비토리오 타마니니
- 1930:
야노스 셀레시
- 1932:
한스 지글라르스키
- 1934:
이슈트반 에네케시
- 1937:
울데리코 세르고
- 1939:
울데리코 세르고
1942:아르투로 파올레티- 1947:
라슬로 보가치
- 1949:
조반니 주다스
- 1951:
빈센초 달라오소
- 1953:
제논 스테파니우크
- 1955:
제논 스테파니우크
- 1957:
올레그 그리고리예프
- 1959:
호르스트 라셔
- 1961:
세르게이 시프코
- 1963:
올레그 그리고리예프
- 1965:
올레그 그리고리예프
- 1967:
니콜라에 기주
- 1969:
아우렐 두미트레스쿠
- 1971:
티보르 바다리
- 1973:
알도 코센티노
- 1975:
빅토르 리바코프
- 1977:
스테판 푀르스터
- 1979:
니콜라이 흐랍초프
- 1981:
빅토르 미로슈니첸코
- 1983:
유리 알렉산드로프
- 1985:
류비샤 시미치
- 1987:
알렉산더르 흐리스토프
- 1989:
세라핌 토도로프
- 1991:
세라핌 토도로프
- 1993:
라임쿨 말라흐베코프
- 1996:
이슈트반 코바치
- 1998:
세르히 다닐첸코
- 2000:
아가시 아가굴로글루
- 2002:
하바지 하치고프
- 2004:
겐나디 코발료프
- 2006:
알리 알리예프
- 2008:
루크 캠벨
- 2010:
에두아르트 압잘리모프
- 2011:
베아체슬라브 고잔
- 2013:
존 조 네빈
- 2015:
마이클 콘런
- 2017:
피터 맥그레일
- 2019:
쿠르트 워커
- 2022:
Remove ads
킥복싱
킥복싱에서 밴텀급 선수는 일반적으로 53kg(116lb)에서 55kg(120lb) 사이의 체중이다. 그러나 일부 운영 단체는 약간 다른 체급을 가진다. 예를 들어, 국제 킥복싱 연맹 (IKF) 밴텀급 부문(프로 및 아마추어)은 117.1lb–122lb 또는 53.22kg–55.45kg이다.
ONE 챔피언십에서 밴텀급 체급 제한은 65.8 kg (145 lb)이다.
맨손 권투
맨손 권투 프로모션마다 밴텀급 체급 제한은 일반적으로 다르다.
- 베어 너클 파이팅 챔피언십에서 밴텀급 체급은 135 lb (61 kg)의 상한선을 가진다.
- BKB에서 밴텀급 체급은 73 kg (161 lb)의 상한선을 가진다.
레트웨이
ILFJ(International Lethwei Federation Japan)에서 밴텀급 체급은 최대 60 kg (130 lb)이다. ILFJ에서 유타 하마모토는 밴텀급 챔피언이다.
WLC(World Lethwei Championship)는 밴텀급 체급을 54 kg (119 lb)의 상한선으로 인정한다. WLC에서 수리 망프레디는 밴텀급 챔피언이다.
종합격투기
MMA에서 밴텀급은 일반적으로 126–135 파운드(57.2–61.2kg)이다. ONE 챔피언십에서 밴텀급 체급 제한은 65.8 kg (145 lb)이다. 슈토의 한계는 56kg (123.4lb)이다.
현재 챔피언
이 표는 2025년 7월에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되었다.
Remove ads
무에타이
무에타이에서 밴텀급은 115–118 파운드 (52.2-53.5kg)이다. 주목할 만한 무에타이 밴텀급 선수로는 랜디 통 푸운 핌이 있다.
레슬링
레슬링 또한 밴텀급을 포함한 유사한 체급을 가진다.
같이 보기
- 현재 복싱 챔피언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