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뱀파이어 소녀 달자
애니메이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뱀파이어 소녀 달자》(영어: Dalja, The Vampire Girl)는 '달자'와 '유진', '엘리제'로 구성된 가공의 흡혈귀 가족과 인간 소년인 동구를 주인공으로 하며,[2] 어린이를 대상으로 제작된 코미디 공포 텔레비전 애니메이션이다.
Remove ads
개요
오컬트를 어느 정도 숙지하고 있는[2] 주인공 동구와 동구가 직접 만난 뱀파이어 가족의 이야기를 주요 소재로 한다. 하지만 동구를 제외한 다른 등장인물들은 달자가 신분과 종을 속임으로서 생기는 어색함을 인지하지 못한다.[3]
제작
어린이 대상의 코미디 공포 시트콤[4] 애니메이션으로, 공포물의 소재와 시트콤에 나올 법한 전반적인 내용을 사용했다.[4] 감독은 각 인물의 설정과 설정 간의 괴리감을 만드는 것을 즐기기 때문에 달자가 기본적으로는 흡혈귀 소녀이나, 마치 토끼를 연상케 하는 외모와 '딸기 주스 애호가'라는 설정 등의 아기자기한 설정이 만들어졌다.[4]
방송 일시
등장인물
달자의 가족
- 달자
- 유진(달자 아빠)
- 엘리제(달자 엄마)
- 애완거미
동구의 가족
- 허동구
- 동구의 아빠와 엄마
주변 사람들
- 오준석
- 승남
- 나연
- 담임
- 광림
귀신
- 울프
- 샌드맨, 야저귀
우리말 녹음
제작진
요약
관점
- 오프닝 크레딧
기획: CJ ENM, BAZOOKA STUDIO (투니버스판만)
- 엔딩 크레딧
- 책임프로듀서: 김자현 (KBS판만) 이종혁
- 프로듀서: 목훈 (KBS판만)
- 기획: 김영욱
- 제작 총괄: 석종서
- 원작: CJ ENM
- 감독: 이준원 (스튜디오징스)
- 기획 프로듀서: 김지현, 권혁준, 선우샘
- 시나리오: 조민주
- 스토리 에디터: 이종혁, 권혁준
- 아트 디렉터: 전수민
- 캐릭터 개발: 한덩이
- 스토리보드: 이규리, 이지은, 김정현, 최지원, 권지민, 조준영, 김승진, 방효은
- 메인 프로덕션: SOUL CREATIVE (투니버스판) → 쏘울 크리에이티브 (KBS판)
- 제작책임: 임만식
- 프로듀서: 이두희, 이지혜, 나민식
- 디자인: 전수민, 이윤정, 홍수현, 최현서, 이현식, 임유정, 장현아, 성주연, 서혜지, 안진영
- 배경 디자인: 전수민, 김지은, 김연주, 최현서, 박혜란, 홍수현, 이현식, 김정환, 성주연, 강현아, 김소희
- 레이아웃: 이현식, 김정환, 정윤정, 이지은, 박창진, 오승진, 민경욱, 조원준, 차동석, 이종흔, 소호성, 송근식
- 배경제작: 박중호, 김경기, 송혜란, 조정연, 전수민, 김지은
- 애니메이션 팀장 (투니버스판) → 애니메이션 총괄 (KBS판): 정은영
- 애니메이션: 이정민, 김정인, 이송원, 선길숙, 송하나, 장수진, 황정환, 오진영, 최병구, 김인복, 박수현, 강선영, 류종완, 이상훈, 이종대, 오상택
- 효과/편집: 배봉진
- CJ ENM 애니메이션 사업부,투니버스 (투니버스판만)
- 투자관리: 김대현, 정찬원 (투니버스판만)
- 국내사업 총괄: 강헌주 (투니버스판만)
- 채널운영: 하나영, 이민순, 조승연, 김도희, 김희정, 강은희, 차주현, 황예진, 김혜수 (투니버스판만)
- 마케팅: 류지원, 변유리, 김창우, 황호신, 최주연 (투니버스판만)
- 판권사업: 성수희, 김민지, 김민애, 장지호, 진지혜, 유혜정, 김윤주 (투니버스판만)
- L&M사업: 조민성, 김주만, 신연재, 문수현, 현근창, 김정호, 김태완, 유현희, 황다미, 김장원, 공나래, 채민경, 이명일 (투니버스판만)
- 공연전시사업: 민지혜, 지승연, 박형준, 김진희 (투니버스판만)
- 디지털사업 총괄: 윤여민 (투니버스판만)
- IP사업 1: 이영제, 최우수, 임이레, 장여진, 심소영 (투니버스판만)
- IP사업 2: 이석연, 이선희, 김수아 (투니버스판만)
- 디지털제작: 최우석, 맹준재, 안희련, 최슬기, 정진영, 김율, 김도은, 이우열, 장지영, 노유라, 권민지, 안재희, 김윤아 (투니버스판만)
- 〈사운드〉
- 포스트총괄 (투니버스판) → 포스트 총괄 (KBS판): 신길주
- 우리말연출 (투니버스판) → 우리말 연출 (KBS판): 조승희
- 녹음/믹싱: 김재형
- 효과: 김재형, 김지후
- 음악감독: 김정아
- 배경음악 작곡: 최창국, 박진현, 윤주현, 서유원, 김정아 (사운즈쿨)
- 포스트관리: 조일오
- 종합편집: 정회범
- 종합편집: 이수은 (KBS판만)
- 자막디자인: 황은서 (KBS판만)
- 조연출: 차한결 (KBS판만)
- 연출: 목훈 (KBS판만)
- 기획: CJ ENM, BAZOOKA STUDIO (투니버스판만)
- 애니메이션 제작: SOUL CREATIVE (투니버스판만)
- 제작 투자: CJ ENM (투니버스판만), 대교애니메이션전문투자조합
- 기획: KBS (KBS판만)
- 제작: Tooniverse (투니버스판) → CJ ENM, BAZOOKA STUDIO (KBS판)
- ⓒCJ ENM Co.,Ltd. All Rights Reserved. (투니버스판만)
Remove ads
주제곡
에피소드
요약
관점
4화에는 《버스 타기》 라는 초단편 에피소드가 같이 방송되었고, 6화에도 역시 공원에서의 달자를 다룬 에피소드가 같이 방송되었다.
특별 방영
정규 방영
- 4화의 예고 제목은《돈이 필요해》였으나, 2022년 1월 11일 실제 방송 시에는 《돈이 뭐길래》라는 제목으로 변경되었다.
에필로그
- 《불시착》 - 1회
- 《버스 타기》 - 4회
- 《철봉》 - 6회
- 《생존의 길》- 7회
- 《허동구의 퀴즈쇼》 - 9회
- 《라면》- 12회
- 《달자vs딸기》-14회
- 《허동구의 퀴즈쇼2》-17회
- 《달자의 퀴즈쇼》-19회
- 《외국인》
- 《꽃점》
- 《낙서》
Remove ads
수상 내역
- 제2회 WAF 2022 대한민국 애니메이션 아티스트 어워드: 시나리오상(권혁준)[6]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