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번사이드 보조정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군론에서 번사이드 보조정리(영어: Burnside lemma)는 군의 작용에서 궤도의 수를 세는 정리다.

정의

요약
관점

유한군 가 집합 위에 (왼쪽에서) 작용한다고 하자. 각 에 대하여,

의 고정점의 집합이라고 하자. 또한,

가 모든 궤도의 집합이라고 하자. 번사이드 보조정리에 따르면, 다음이 성립한다.

Remove ads

증명

요약
관점

다음과 같이 증명할 수 있다.

(여기서 안정자군이다.)
(궤도-안정자군 정리)
(에 대한 분할을 이룬다.)
Remove ads

역사

이 보조정리는 이미 오귀스탱 루이 코시에게 1845년 알려져 있었다. 페르디난트 게오르크 프로베니우스가 1887년 쓴 논문에도 수록되어 있다.[1] 윌리엄 번사이드가 1897년 쓴 책에 프로베니우스를 인용하였고, 이 보조정리의 증명을 수록하였다.[2] 번사이드는 군론에서 수많은 보조정리들을 증명하였는데, "번사이드 보조정리"는 번사이드가 증명하지 않은 몇 안되는 보조정리 가운데 하나이다. 혹자는 이 보조정리를 "번사이드가 증명하지 않은 보조정리"라고 부르기도 한다.[3]

같이 보기

참고 문헌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