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벌레근 (손)
손에 존재하는 여러 개의 작은 근육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벌레근(lumbricals) 또는 충양근(蟲樣筋)은 손의 자체기원근육으로, 한쪽 손에 4개씩 존재한다. 손허리손가락관절을 굽히고,[1] 손가락사이관절을 펴는 작용을 한다.[1][2] "lumbrical"이라는 용어는 라틴어로 "벌레"를 뜻하는 단어이다.[3]
발의 벌레근도 비슷한 작용을 하지만, 손의 벌레근에 비해 그 임상적 중요성은 비교적 낮다.
Remove ads
구조
요약
관점
벌레근은 양손에 각각 네 개씩 존재하는, 작은 벌레 모양의 근육이다. 벌레근이 특이한 점은 뼈에 붙지 않는다는 것이다. 대신 벌레근은 몸쪽에서는 깊은손가락굽힘근 힘줄에서 기시하며,[1][2][4] 먼쪽으로는 폄근널힘줄에 닿는다.[1][4] 첫째와 둘째 벌레근은 반깃근(unipennate)이며, 셋째와 넷째 벌레근은 깃근육(bipennate)이다.[2][5]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벌레근의 이는곳과 닿는곳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번호 | 형태 | 이는곳 | 닿는곳 |
첫째 | 반깃근 | 가장 가쪽의 깊은손가락굽힘근 힘줄, 즉 집게손가락으로 가는 힘줄의 노쪽(가쪽) 측면에서 일어남 | 집게손가락의 노쪽 측면을 따라 뒤쪽으로 주행하여 둘째 손허리손가락관절 근처의 폄근널힘줄에 닿음 |
둘째 | 반깃근 | 가운뎃손가락으로 가는 깊은손가락굽힘근 힘줄의 노쪽(가쪽) 측면에서 일어남 | 가운뎃손가락의 노쪽 측면을 따라 뒤쪽으로 주행하여 셋째 손허리손가락관절 근처의 폄근널힘줄에 닿음 |
셋째 | 깃근육 | 한 갈래는 약손가락으로 가는 깊은손가락굽힘근 힘줄의 노쪽(가쪽) 측면에서, 나머지 한 갈래는 가운뎃손가락으로 가는 깊은손가락굽힘근 힘줄의 자쪽(안쪽) 측면에서 일어남 | 약손가락의 노쪽 측면을 따라 뒤쪽으로 주행하여 폄근널힘줄에 닿음 |
넷째 | 깃근육 | 한 갈래는 새끼손가락으로 가는 깊은손가락굽힘근 힘줄의 노쪽(가쪽) 측면에서, 나머지 한 갈래는 약손가락으로 가는 깊은손가락굽힘근 힘줄의 자쪽(안쪽) 측면에서 일어남 | 새끼손가락의 노쪽 측면을 따라 뒤쪽으로 주행하여 폄근널힘줄에 닿음 |

신경 분포
첫째와 둘째 벌레근, 즉 가쪽의 두 벌레근은 정중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셋째와 넷째 벌레근, 즉 안쪽의 두 벌레근은 자신경의 지배를 받는다.[6] 이것이 일반적인 벌레근의 신경 분포 양상으로, 전체 인구의 60% 정도를 차지한다. 그러나, 정중신경과 자신경이 분포하는 벌레근의 개수 비가 1:3인 경우(전체의 20%)와 3:1인 경우(전체의 20%)도 존재한다. 한편 벌레근의 신경 분포는 해당 벌레근과 위치상 연관되어 있는 깊은손가락굽힘근의 근육단위를 항상 따른다. 가령, 가운뎃손가락으로 가는 깊은손가락굽힘근 힘줄과 연결된 근육단위가 정중신경의 지배를 받는 경우, 둘째 벌레근 역시 항상 정중신경의 지배를 받는다.[7]
혈액 공급
얕은손바닥동맥활, 온바닥쪽손가락동맥, 깊은손바닥동맥활, 등쪽손가락동맥이 모두 독립적으로 벌레근에 혈액을 공급한다.[8]
Remove ads
작용
벌레근은 뼈사이근의 도움을 받아, 해당 벌레근이 닿는 손가락의 손허리손가락관절을 굽히고 몸쪽과 먼쪽손가락사이관절을 모두 펴는 작용을 동시에 한다. 글을 쓰는 경우 획을 위로 그을 때 벌레근을 사용한다.
추가 이미지
- 손가락의 힘줄과 힘줄끈
- 손의 벌레근
- 손의 벌레근
- 벌레근
- 벌레근
- 벌레근
- 벌레근
- 벌레근
- 손 근육의 단면
- 손목관절의 깊은쪽 해부. 손바닥 쪽(앞쪽)에서 본 모습.
- 손목관절의 깊은쪽 해부. 손바닥 쪽(앞쪽)에서 본 모습.
- 손목관절의 깊은쪽 해부. 손바닥 쪽(앞쪽)에서 본 모습.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