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범마방진

조건을 추가한 마방진의 일종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범마방진(汎魔方陣, 영어: panmagic square) 또는 범대각선 마방진(汎對角線 魔方陣, 영어: pandiagonal magic square)은 범대각선에 있는 수들의 합도 마법 상수로 동일한 마방진이다. 여기서 범대각선이란 평행한 두 대각선으로 구성된 n개의 수들의 집합을 말한다. 범마방진은 마방진의 최상위 등급으로 생각되어,[1] 완전방진(完全方陣),[2] 완전대각방진(完全對角方陣)이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아래 범마방진에서 빨간색은 대각선이고, 나머지 파란색, 노란색, 초록색은 각각 범대각선이다.

310156
138112
211147
16549
310156
138112
211147
16549
3+8+14+9=34
10+1+7+16=34
15+12+2+5=34
6+13+11+4=34
6+1+11+16=34
15+8+2+9=34
10+13+7+4=34
3+2+14+15=34

범대각선 마방진에서는 대각선뿐 아니라 범대각선에서도 합이 마방진 합으로 같아야 한다. 이 마방진에서 마방진 합은 34이다.

Remove ads

3×3 범마방진

요약
관점

비자명한 3차 범마방진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음과 같은 범마방진에서

마방진 상수가 라 하자. 을 모두 더하면 가 된다. 그런데 그 중에서 을 더하면 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3번째 세로줄을 맨 왼쪽으로 옮기고 같은 방법을 적용하면, 이어야 한다. 따라서 수의 값은 모두 으로 같아야 한다.

그런데 마방진의 개념에서 수들 대신 기하학적인 모양으로 일반화시킬 때, 도형 마방진(geometric magic square)에서 3×3 범마방진은 존재한다.

Thumb
3×3 기하 범마방진
Remove ads

4×4 범마방진

Thumb
4×4 마방진의 종류를 벤 다이어그램으로 표시한 것이다. 같은 색으로 표시된 부분에서 합이 마방진 상수로 같다.

가장 작은 비자명한 범마방진은 4×4 마방진이다. 모든 4×4 범마방진은 다음 예시[3]에서 한 가로/세로줄을 반대편으로 평행 이동했을 때 대칭이어야 한다.

aa + b + c + ea + c + da + b + d + e
a + b + c + da + d + ea + ba + c + e
a + b + ea + ca + b + c + d + ea + d
a + c + d + ea + b + da + ea + b + c

모든 2×2 부분사각형의 합이 마법 상수이기 때문에, 4×4 범마방진은 가장 완벽한 마방진(most-perfect magic square)이다. 게다가 모든 3×3 사각형에서 반대쪽 꼭짓점에 있는 두 쌍의 수들의 합은 마법 상수의 절반이다. 따라서 모든 결합 마방진(associative)인 4×4 범마방진은 똑같은 수들이 있어야 한다.

1부터 16까지의 수를 중복하지 않고 사용한 모든 4×4 범마방진은 a를 1로 해야 하고, b, c, d, e를 1, 2, 4, 8 (순서는 상관없음)로 해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평행 이동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 = 1, c = 2, d = 4, e = 8로 하면, 다음과 같은 마방진을 얻을 수 있다.

181312
141127
45169
151036

1부터 16까지의 수를 중복하지 않고 사용한 모든 4×4 범마방진의 경우의 수는 384(=16×24)가지이다. 평행 이동으로 16개가 가능하고 1, 2, 4, 8을 b, c, d, e에 배정할 때 4!(24)가지 방법이 있기 때문이다.

Remove ads

5×5 범마방진

요약
관점

5×5 범마방진은 많이 있다. 4×4 범마방진과는 달리, 결합 마방진이 가능하다. 다음은 5×5 결합 범마방진이다.

20821142
114171023
72513119
31692215
24125186

게다가 5×5 범마방진의 가로줄, 세로줄, 대각선에서는 오점형(quincunx)에 위치한 수의 합도 마법 합으로 같다.[4] 예를 들어

17+25+13+1+9 = 65 (중앙의 수 + 닿아 있는 가로·세로줄에서 옆에 있는 수)
21+7+13+19+5 = 65 (중앙의 수 + 닿아 있는 가로·세로줄에서 나머지 수)
4+10+13+16+22 = 65 (중앙의 수 + 닿아 있는 대각선에서 옆에 있는 수)
20+2+13+24+6 = 65 (중앙의 수 + 닿아 있는 대각선에서 나머지 수)

각 오점형은 둘러싸고 있는 가로줄과 세로줄의 원형 순열을 통해 사각형에 있는 다른 위치로 평행 이동시킬 수 있다. 범마방진은 마법 상수등식(equality)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깨진 대각선과 비슷한 깨진 오점형을 포함하면, 합이 같은 오점형이 100개가 만들어진다.

합이 같은 오점형은 가로줄, 세로줄, 대각선 합의 선형 조합을 통해 증명할 수 있다. 범마방진이 다음과 같다고 하자. 마법 상수는 s이다.

오점형의 합이 임을 증명하려면, (숫자로 된 예시에서는 20+2+13+24+6 = 65에 해당됨) 다음의 수를 더하면 된다.

  1. , 대각선 합의 각 3배
  2. , , , 깨진 대각선의 합
  3. , 가로줄의 합

이 합에서 다음의 수를 빼면 된다.

  1. , 가로줄의 합
  2. 세로줄의 합
  3. , 세로줄의 합의 각 2배

이 결과는 이고, 5로 나누면 이 오점형의 합이 마법 합(magic sum)과 같다는 걸 알 수 있다. 수로 된 마방진 예시와 같이, 다음 오점형의 합도 마법 합과 같게 된다. , ,

Remove ads

연속하지 않는 정수로 이루어진 (4n+2)×(4n+2) 범마방진

연속적인 정수(예를 들어 1, 2, 3, 4, 5)가 사용되면 차 범마방진은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특정한 순서의 연속하지 않은 정수가 있으면 가능하다.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