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베이징 지하철 S1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베이징 지하철 S1선(중국어 간체자: 北京地铁S1线, 병음: Běijīng dìtiě S1 xiàn)은 중국 베이징시에서 운행하는 자기부상열차 노선이다. 공정 명칭으로는 베이징시 중저속 자기부상교통 시범선(北京市中低速磁浮交通示范线), 계획 명칭으로는 (교외 철도) 먼터우거우선(门头沟线), 다타이선(大台线)으로 불리었다. 이 노선은 베이징의 성구(城区)와 먼터우거우구 간을 서쪽의 스창에서 동쪽의 핑궈위안까지 연결하며, 1호선, 6호선과 환승된다. 먼터우거우 선의 총 길이는 10.2 km이며, 모두 고가이다. 8개의 역이 있으며, 차량기지는 시먼잉(石门营)에 위치한다.[1] 2017년 12월 30일에 핑궈위안역 외 7개의 역이 개장했고, 2018년 진안차오역이 6호선 서부 연장선과 환승하게 된다.
Remove ads
역사
처음에는 징먼 철로를 이용하여 우루역(五路站)에서 먼터우거우구(门头沟区) 먼청진(门城镇)까지 교외 철도 S1선을 운영 할 계획이었다.[2] 재배치 계획 후 징먼 철로 옆에 새로운 중저속 자기 부상 노선 먼터우거우 선(门头沟线) 계획을 구축하였다. 그러나 자기 부상으로 인한 방사선 및 소음에 대한 우려 때문에, 인근 주민들이 이 노선에 대해 반대했는데,[3] 시험에 따르면, 저속 자기 부상의 소음은 매우 적고 방사 강도는 텔레비전보다 작아, 서쪽 구간의 건설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4] 동쪽 구간은 역량 부족으로 인해 6호선 서부 구간으로 대체되었다.[5]
이 프로젝트는 2011년 2월 28일에 시작되었으나,[6] 자기부상열차에 대한 논쟁 및 심사 비준 등으로 인해 실질적인 업무가 지연되었다.[7]。2013년 11월, 프로젝트의 타당성 조사 보고서는 베이징 개발 개혁위원회(도시 철도 교통 승인 권한이 국가 개발 개혁위원회에 의해 주정부 투자 당국에 위임되기 전)에 의해 승인되었으며,[8] 노선 위에 중저속 자기 부상 기술을 보유한 베이징 제어 그룹(北控集团)은 건설을 위해 BT 방식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9]
2017년 9월 20일, 자기부상철도 S1선은 영업 운행에 앞서 시운전을 실시했다.[10] 12월 30일, 핑거위안역 외 7개 역 노선이 개통했다.
2021년 7월 21일 0시, S1선 진안차오역에서 핑궈위안역까지 교량이 연결되었다.[11] 2021년 12월 31일 진안차오~핑궈위안 구간이 개통되었다.[12]
Remove ads
특징

- 노선길이(영업구간): 10.2km
- 표준궤도간격: 1435mm
- 역수: 8개 역
- 복선구간: 전 노선
- 전기구간: 전 노선(직류 750V 제3궤조 방식)
- 지상구간: 전 노선
- 주행방향: 우측통행
역목록
각주
같이 보기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