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직기
실을 이용하여 옷감을 짜는 기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직기(織機, 영어: loom)는 실을 이용하여 옷감을 짜는 기계이다.

자동직기
실에서 직물을 만드는 기계로서는 산업혁명 당시 역직기(力織機)가 만들어졌다. 또 1925년에는 자동직기가 나왔다. 자동직기에서는 씨실이 끊어지거나 없어지거나 할 때에는 자동적으로 새로운 것과 교환되고, 또 날실이 끊어졌을 때는 자동적으로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새틀(씨실이 들어간 북)의 왕복횟수도 매분 60회 정도에서 시작되어 100∼200회로 늘어나, 특수한 예에서는 매분 300회 가까운 것도 만들어지고 있다. 또 무늬를 짤 때에는 능직물(綾織物)이나 수자직물 등 간단한 것에 대해서는 날실의 상하운동 등에 연구를 가해서 짜진다.
꽃모양 등 복잡한 것은 모양에 맞추어 날실의 상하운동을 한 가닥 씩 제어하여 날실·씨실의 조합을 할 필
이것을 위하여 고안된 것이 자가드로서, 100년 이상의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 자가드에서는 구멍이 뚫린 판자를 써서 날실의 움직임을 자유자재로 조정한다.
이 원리는 펀치카드로서 현재 전자계산기의 기초 기술이 되어 있다고 한다. 또 최근 전혀 새로운 기술로서 개발된 것에 제트룸(제트식직기)이 있다.
이것은 종래의 직기가 씨실의 목관(木管)을 좌우에서 교대로 날실 사이에 꼽아 넣었는 데 반해 공기나 물의 제트로 불어 넣도록 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꼽아 넣는 속도가 빨라지고 심한 소음이 없어지며, 실이 끊기는 일도 적어져서, 제품의 품질이 향상됨과 동시에 능률도 높아졌다.
Remove ads
같이 보기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직기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베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이 글은 도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