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보은 법주사 복천암 수암화상탑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보은 법주사 복천암 수암화상탑(報恩 法住寺 福泉庵 秀庵和尙塔)은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법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승탑이다. 2004년 10월 7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416호로 지정되었다.[1]
Remove ads
개요
법주사 복천암 동쪽 약 200m 지점에 구축된 평평한 대지에 학조등곡화상탑과 나란히 건립되어 있는데 옥개석은 학조등곡화상탑에 비하여 간략한 편이나 세부 수법은 두 탑이 비슷하다. 이 부도에서 특히 주목되는 것은 탑신에“秀庵和尙塔”이라 하였고, 중대석에“成化十六年 八月日立』”이라고 2행의 명문이 음각되어 부도의 주인공과 조성년대를 알게 하는 점이다. 즉 성종 11년(1480)에 조성되었으며, 수암화상은 복천암과 관계된 조선초기의 고승으로 짐작된다.
이 부도는 고려시대 팔각원당형부도의 양식을 계승한 조선시대 초기의 부도로서 조형수법이 뛰어나며, 특히 주인공의 존명과 조성년대를 부도에 직접 기록하고 있어 조선시대 부도의 절대년대를 알 수 있는 기준작으로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같이 보기
각주
참고 자료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