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부동산 투자 신탁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부동산 투자 신탁 (不動産投資信託, REITs, "리츠"[1] 로 발음)은 소액의 투자자들을 모아 부동산 또는 부동산 관련대출에 투자하여 발생한 수익을 배당으로 지급하는 신탁이다.[2] 리츠는 사무실 및 아파트, 주택, 창고, 병원, 쇼핑 센터, 호텔 및 상업용 산림을 포함한 다양한 유형의 상업용 부동산을 소유한다.[3] 일부 리츠는 부동산에 대한 자금 조달을 담당한다. 일반적으로 상업용 REIT(C-REIT)와 주거용 REIT(R-REIT)로 구분되며, 주거용 REIT는 아파트 및 단독주택과 같은 주택 자산에 중점을 둔다.[4]
한국
부동산투자회사법 제2조제1호에 따라 소액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모아 부동산 또는 부동산과 관련된 자본이나 지분에 투자한 뒤, 발생하는 수익을 투자자에게 배당하는 부동산투자회사 또는 부동산투자신탁을 의미한다
한국 상장 리츠
- 디앤디플랫폼리츠
- 롯데리츠
- 마스턴프리미어리츠
- 삼성FN리츠
- 스타에스엠리츠
- 신한글로벌액티브리츠
- 신한서부티엔디리츠
- 신한알파리츠
- 에이리츠
- 이지스레지던스리츠
- 이지스밸류리츠
- 이지스밸류플러스리츠
- 제이알글로벌리츠
- 케이탑리츠
- 코람코더원리츠
- 코람코라이프인프라리츠
- 한화리츠
- ESR켄달스퀘어리츠
- KB스타리츠
- NH올원리츠[5]
- NH프라임리츠
- SK리츠
아메리카
미국
역사
미국 의회는 1960년에 REIT에 관한 법률을 제정했다.[6] 이 법안은 뮤추얼펀드가 주식 투자에 제공하는 것과 유사한 부동산 투자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7] REIT는 미국 연방 소득세에 대한 책임을 피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주주들에게 배당금 형태로 과세 소득 의 최소 90%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급해야 하기 때문에 강력한 소득 수단이다.[8]
2008년부터 2011년까지 REIT는 미국 경제 침체와 대공황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9]
2019년으로 끝나는 5년 기간 동안 미국 대형주 주식 지수인 S&P 500 지수는 연간 12.5%의 수익률을 기록했는데, 이는 FTSE NAREIT All Equity REITs 지수의 연간 수익률 9.0%보다 높다. 그러나 1972년부터 2019년까지의 연간 총 수익률은 S&P 500의 경우 12.1%였고 FTSE NAREIT 지수의 경우 13.3%였다.[10] 미국 거래소에 상장된 공개 REIT는 190개가 넘는다.[11]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