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부산문화방송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양산시 등을 주요 거점으로 하고 있는 문화방송 산하의 지상파 TV 및 라디오 방송 사업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부산문화방송주식회사(釜山文化放送株式會社, 부산MBC)는 대한민국의 최초 상업 목적 민간방송사로서 부산·동부경남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TV·라디오 방송국이다. 문화방송 서울 본사보다 2년 먼저 1959년에 개국하였다. 현재 본사는 임시 사옥으로,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있으며, 추후 북항 재개발 지역 내의 IT·영상·전시지구 부지로 신사옥 이전을 목표로 하고 있다.
Remove ads
연혁
1950년대

- 1959년 4월 15일 - 부산에서 백화당예식장[참고 2]을 운영하던 개인사업가 김상용과 방송기술자 출신의 정환옥이 주축이 되어 설립했으나 이후 언론인 김지태에게 소유권을 넘긴 대한민국 최초의 민간 상업방송으로 부산문화방송은 개국당시 문화방송으로 불린 문화방송의 모태사이다. 현재의 문화방송은 現 부산문화방송보다 2년 반 늦게 개국(1961.12.2 설립자 김지태)했으며, 개국당시의 이름은 한국문화방송이었다.(現 부산문화방송) 개국 (호출부호 HLKU, 주파수 중파 1161kHz, 출력 1㎾).
- 1959년 9월 23일 - 초대 사장 김상용 퇴임, 제2대 사장 안상수 취임
1960년대
1970년대
- 1970년 1월 24일 - 한국문화방송 부산 텔레비전국으로 개국. 1일 6시간 정규방송 개시. 부산MBC 텔레비전 방송 개국(호출부호 HLAD, 채널12, 영상출력 2㎾, 음향출력 500W).
- 1970년 4월 15일 - 부산MBC 음악FM(호출부호 HLKU-FM, 88.9MHz, 출력 1㎾) 개국.
- 1971년 4월 26일 - 본국을 키 스테이션(Key Station)으로 하여 대구·대전·전주·광주 네트워크에 M/W 중계 방송 개시
- 1971년 6월 21일 - 제2대 사장 안상수 퇴임, 제3대 사장 김종신 취임
- 1971년 7월 5일 - 전 네트국으로 M/W 개통, 본사와 동시방송 개시
- 1971년 10월 1일 - 럭키그룹에서 인수. 주식회사 부산문화방송으로 개편
- 1972년 3월 1일 - FM방송 스테레오로 전환.
- 1972년 10월 30일 - TV 채널 12번을 TV 채널 11번으로 변경(영상출력 5㎾, 음향출력 1㎾로 변경).
- 1974년 2월 19일 - 사장 정보민 취임.
- 1974년 7월 1일 - 사옥 신축 기공식
- 1975년 10월 16일 - 신축 사옥 준공 이전.
- 1976년 9월 1일 - 신사옥 기공(부산광역시 중구 대교동2가 69)
- 1976년 10월 21일 - 제3대 사장 김종신 퇴임, 제4대 사장 조증출 취임.
- 1978년 11월 23일 - AM 주파수 1161kHz로 변경
- 1978년 12월 28일 - 문화관광 주식회사 설립
- 1979년 5월 1일 - 중계소를 FM송신소로 개칭, 부설 가야 문화 연구소 발족.
- 1979년 8월 - 어린이 문예 창간호 발행
- 1979년 9월 1일 - 신사옥 중앙동6가 국제회관 준공.
- 1979년 9월 5일 - 사옥 이전(부산일보 4층 → 국제회관 11층)
1980년대
- 1980년 2월 15일 - 연주소 컬러 텔레비전 기기 시설 완료.
- 1980년 12월 1일 - 강제적인 언론 통폐합으로 부산문화방송 주식 51%가 문화방송으로 넘겨져 계열화됨.
- 1980년 12월 22일 - 컬러 TV 방송 개국.
- 1981년 2월 17일 - 제5대 사장 하종배 취임.
- 1982년 7월 1일 - FM방송 1㎾에서 5㎾로 출력 증강.
- 1983년 8월 1일 - TV출력 증강(영상 10㎾, 음성2㎾).
- 1984년 11월 2일 - 일본 KBC 규슈 아사히 방송과 자매결연.
- 1985년 9월 1일 - 주식회사 부산문화방송, 주식회사 부산문화TV방송 합병.
- 1985년 9월 1일 - 정수장학회 소유 부산문화방송 전 주식(약 21.27%)이 문화방송으로 양도됨.[3]
- 1986년 2월 25일 - 양산 TV중계소 개소.
- 1988년 2월 1일 - 부산MBC 표준FM(95.9MHz) 방송 개국 : (개국당시 호출부호 HLKU-SFM, 주파수 초단파 95.9MHz, 출력 3㎾/황령산).
1990년대
- 1994년 5월 21일 - 중국 톈진광파전대와 자매결연.
- 1994년 8월 27일 - 녹산TV 중계소 개소.
- 1997년 3월 31일 - 신사옥 이전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 316-2, 감포로8번길 69).
- 1997년 4월 15일 - 신사옥 준공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
Remove ads
매출, 손익 현황
- 2012년 부산문화방송은 427억의 매출액을 올려 19개 지역 문화방송 제휴국 중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2위는 대구문화방송으로 398억을 기록함) 전체 제휴국 매출액 중 점유율은 10%였으며, 매출원가는 262억, 영업이익은 16억의 흑자를 기록하였다. 영업외 손익을 감안한 경상이익은 30억이었으며, 법인세 비용등을 제외한 당기순이익은 23억의 흑자가 발생했다. (이는 문화방송 제휴국 전체 당기순이익(65억,2007년)의 36%에 해당하는 수치임)
- 부산문화방송 매출은 연평균 0.1%의 매출액의 증가율을 보이고있고, 당기순이익에서도 최근 7년간 적자를 기록한 적이 없어 비교적 안정된 수준의 순이익을 달성하고 있다.[5]
TV 방송
요약
관점
1970년 1월 24일 호출부호 HLAD, 채널12, 영상출력 2㎾, 음성출력 500W로 부산,울산,마산 지역 최초의 민영TV방송사 부산문화텔레비전방송(주)로 TV방송을 개국하였다. 1972년 10월 30일 TV 채널 12번을 TV 채널 11번으로 변경(영상출력 5㎾, 음향출력 1㎾로 변경)하였다. 1980년 12월 22일 컬러TV방송을 실시하였고, 2004년 7월 30일 디지털 TV방송을 개국하였다. 부산광역시 일원과 경상남도 동부 일부지역을 가시청권역으로서 방송중이다.
방송 송출 시설망
- 호출부호 : HLKU-DTV
- 가상채널 : 11-1
- 아날로그TV
2012년 10월 9일 오후 2시 방송 종료
(대한민국의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참고)
(대한민국의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참고)
- 호출부호 : HLKU-TV
라디오방송
1959년 4월 14일 개국하였다. FM라디오 2채널을 운영 중이며, 부산과 그 인근지역을 가청권역으로서 방송중이다.
FM 송신소는 황령산에 있다. AM 송신소는 부산진구 초읍동 화지산에 있었으나, 문화방송이 AM방송의 전면 표준FM 전환에 들어가면서 2022년 9월 8일에 AM방송 휴지 후 폐국 수순을 밟게 됐다.
TV 프로그램
방영 프로그램
- MBC 뉴스투데이 부산
- 930 MBC 뉴스 부산
- MBC 5시 뉴스와 경제 부산
- MBC 뉴스데스크 부산
- 생방송 부라보
- 시사포커스
- 테마기행 길
- TV 닥터 인사이드 플러스
- 스포츠 중계석[6]
종영 프로그램
- 포비든 앨리
- 부산, 부산 문화
- 공간다큐 그곳
라디오 프로그램
방영 프로그램
RADIO
- 부산MBC 9시 뉴스
- 부산MBC 정오종합뉴스
- 부산MBC 15시 뉴스
- 부산MBC 17시 뉴스
- 부산MBC 18시 뉴스
- 부산MBC 21시 뉴스
- 자갈치 아지매
- 우리 산책할래요?
- 라디오 시민세상
- 오후만세
- 생방송 오늘 저녁, 부산입니다
FM
종영 프로그램
RADIO
FM
방송 송출 시설망
라디오 시보 멘트
- 표준FM : FM 95.9MHz 부산MBC 라디오입니다. HLKU-SFM
- FM4U : FM 88.9MHz 부산MBC FM4U입니다. HLKU-FM
제공 시보
- 제공 시보는 본사와 항상 동일함.
- 부산MBC 자체 ID: 마음을 나눕니다. 희망을 발견합니다. 함께해서 행복한 이시간, 여러분의 부산문화방송입니다.
자체 5분 제공 시보
- 카카오 T 대리
자체 10분 제공 시보
- 르노코리아자동차
- 무광고 시보
- 카카오 T 대리
자체 20분 제공 시보
- 카카오 T 대리
Remove ads
지상파DMB방송
부산문화방송이 주사업자로 울산문화방송, MBC경남과 공동으로 부산, 울산, 경남 등 전지역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지상파DMB 사업자로서 운영·방송중이다.
아나운서
현직
전직
기자
보도국(기자)
- 보도국
* 조수완 보도국장
- 데스크 -
* 남휘력 편집부장 * 이두원 취재부장 * 조재형 보도기획팀장 * 윤파란 뉴미디어팀장
-사회팀-
* 김유나A 기자 * 서준석 부국장 * 류제민 기자 * 김유나B 기자 * 조민희 기자 * 유태경 기자 * 이승엽 기자 * 장예지 기자
-보도기획팀-
* 박기홍 국장 * 정은주 국장 * 이만흥 부장 * 송광모 기자 * 박준오 기자
- 영상국
* 손영원 영상스포츠국장
-영상취재부-
* 김홍식 영상취재부장 * 김욱진 국장 * 이성욱 국장 * 이보문 차장 * 박현진 기자 * 이석현 기자
기상캐스터
현직
- 정유나
전직
- 양지예
- 문지영
- 정지혜
- 정민경
리포터
현직
- 이수민
- 전철
- 손동혁
- 김난희
- 박유림
- 이진영
- 김진수
전직
- 임보라
- 권현정
- 김세례
- 이승주
- 권유리
- 이윤정
교통 캐스터
- 배은지
- 이루연
- 이치유
- 임가현
역대 연중 캠페인
- 1999년 - 부산을 문화도시로
- 2001년 - 문화도시 부산, MBC와 함께
- 2002년 - 푸른 부산, MBC와 함께
- 2003년 - 세계도시 부산, MBC와 함께
- 2004년 - 힘찬 부산
- 2006년 - 희망 부산, 월드 부산
- 2007년 - 창조도시 부산
- 2008년 - 선진 부산 경제 재도약
- 2010년 - 당신이 아름답습니다
- 2011년 - 함께하면 행복합니다
- 2012년 - '通(통)MBC, 통통! 대한민국’좋은친구 부산MBC
- 2013년 - 나눔 행복, 희망부산!
- 2014년 - 부산과 함께 미래로, 바다와 함께 세계로
- 2015년 - 행복도시 부산, 함께하는 미래
- 2016년 - 신공항은 가덕도 부산은 세계로!
- 2017년 ~ 2018년 - 친절과 배려, 당신이 부산입니다
- 2019년 - 당신과 함께 60년 친구, 부산MBC
- 2020년 - 당신과 아름답습니다.
- 2021년 - 힘내라 부산 당신을 응원합니다.
- 2022년 - 시민과 함께 부산MBC 언제나 여러분과 함께합니다.
- 2023년 - 탄소제로시티 부산의 이름입니다.
- 2024년 - 으라차차 부산, 다시뛰는 부산 여러분과 부산 시민을 응원합니다.
- 2025년 - 빛나라 부산 흥해라 대한민국
주해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