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부영양화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부영양화(富營養化, eutrophication)는 화학 비료나 오수의 유입 등으로 물에 인(P)과 질소(N)와 같은[1] 영양분이 과잉 공급되어 식물의 급속한 성장 또는 소멸을 유발하고 조류가 과도하게 번식하게 하여[1] 하천이나 호소 심층수의 산소를 빼앗아 용존산소량(DO)를 감소시켜[1] 생물을 죽게 하는 현상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화학비료 혹은 오수의 유입으로 생물이 죽으며 그 생물이 부식되어가는 과정 속에서 또한번 영양분이 계속해서 과잉공급이 되어간다. 부영양화가 일어나게 되면 물의 맛과 냄새가 이상해진다.[1] 부영양화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는 인(P)과 질소(N)의 유입을 줄이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활성탄, 황산 구리(CuSO4)를 살포하는 방법이 있다.[2]

Remove ads
대한민국 부영양화 지표
대한민국에서 사용하는 부영양화 지표에는 대표적으로 총 질소(T-N)와 총 인(T-P)이 있다. 1999년을 기준으로 투명도(Secchi disk depth)는 부영양화를 평가하는 데 들어가는 지표가 아니었지만,[3] 2000년 기준으로 부영양화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지표기준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4]
같이 보기
각주
참고 문헌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