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오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오군(吳郡)은 후한시대에 설치한 중국의 옛 군이다. 동으로 황해를 임하고 있다. 이름은 춘추시대의 제후국인 오나라에서 따왔으며, 장쑤성의 지급시인 쑤저우시의 전신이다.
후한
129년(영건 4년) 회계군에서 첸탕강 유역과 그 이북지역을 오군으로 분리신설했다. 낙양에서 동으로 3,200리거리에 있으며 13성 164,164호 700,782명을 거느렸다.[1]
Remove ads
동오
234년(오 대제 가화 3년) 건업과 인접한 지역이 비릉전농교위, 266년(손호 보정 원년)에 오흥군으로 분리되면서 군역이 축소되었다.[4]
Remove ads
남조
280년(서진 무제 태강 원년) 서진이 오나라를 정복하면서 서진의 땅이 되었다. 서진대 오군은 11현 25,000호를 거느렸다.[6] 463년(유송 효무제 대명 7년) 남서주로 소속이 바뀌었다가 1년 만에 양주로 돌아왔다. 유송대 오군은 12현 50,488호 424,812명을 거느렸다. 또한 유송대 오군은 수도인 건강까지 수로로 670리, 육로로 520리 거리였다. 속현은 진나라 때 해우현, 신성현이 신설된 이후 유송, 남제시기까지 변하지 않았다.[7][8] 진나라때인 587년(진숙보 정명 원년), 전당, 부양, 신성 3현이 전당군(錢塘郡)으로 분리되었다.[9]
수
507년(양 무제 천감 6년) 신의군이 분리신설되었다. 진나라때 오군이 오주(吳州)로 분리되었다. 수나라가 남진을 정복한 이후, 오주가 소주(蘇州)로 개명되었다. 대업초기 소주에서 오주로 복귀했다가 607년(수 양제 대업 3년) 주현제가 폐지되고 군현제가 복구되면서 오군이 재설치되었다. 수나라 때 오군은 5현 18,377호를 거느렸다.[11]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