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북극해 항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북극해 항로(北極海航路, 영어: Northern Sea Route, NSR)는 러시아에서 북동항로의 러시아 구간을 부르는 명칭이다. 사람에 따라 이 말을 북동항로와 동의어, 또는 북동항로와 북서항로의 총칭(북극 항해로)으로 쓰기도 한다.
정의 및 경로
북극해 항로의 수역은 러시아 북부 해안에 인접한 해역으로 구성되며, 러시아 연방의 내해, 영해, 인접 수역, 배타적 경제 수역을 포함한다. 동쪽은 베링 해협의 데즈네프곶 위도선으로, 서쪽은 젤라니야곶 자오선, 노바야제믈랴 제도의 동쪽 해안선, 마토치킨 샤르 해협, 카르스키에 보로타 해협, 유고르스키 샤르 해협의 서쪽 경계로 한정된다. 총 길이는 약 5,600km에 달한다.[1]
북극해 항로는 북극해의 카라해, 랩테프해, 동시베리아해, 추코치해를 통과하며, 시베리아의 주요 하천 및 북극 항만과 연계되어 운영된다. 현재 북극해 항로 구간에는 러시아 북극권 내에 다음의 6개 주요 항만이 위치한다: 사베타항, 딕슨항, 두딘카항, 하탕가항, 틱시항, 페벡항.[2]
역사
북극해 항로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1525년[3], 러시아 외교관 드미트리 게라시모프가 북극해를 통한 항로 이용 가능성을 제안한 데서 비롯되었다. 그는 이 경로가 러시아와 중국 간 해상 교통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후 러시아의 북극해 항로 개척 역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2025년을 기준으로 해당 항로의 개발 역사는 500년을 맞이하게 되었다.
북극해 항로의 장점
- 경로 단축: 전통적인 남방 항로(예: 수에즈 운하 경유 항로) 대비 30~40% 짧은 거리로, 아시아에서 유럽 대부분의 항만까지의 운송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 환경적 이점: 해상 물류의 탈탄소화라는 세계적 과제에 부응하며, 짧은 항로를 활용함으로써 해양 환경에 대한 인위적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북극해 항로는 탄소배출이 거의 없는 원자력 쇄빙선을 통해 항해가 이루어진다.
- 물류 효율성 제고: 거리 단축과 정체 구간의 부재는 물류 시간 단축을 가능하게 하며, 이에 따라 운송 비용을 절감하고 글로벌 공급망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 해적 위협의 부재: 북극해 항로에는 해적의 위험이 존재하지 않으며, 이는 기존 항로 대비 안전성과 신뢰성을 크게 높여주는 요소다.[4]
물동량 통계
북극해 항로를 통한 연간 물동량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 2012년: 387만 톤
- 2013년: 393만 톤
- 2014년: 398만 톤
- 2015년: 539만 톤
- 2016년: 726만 톤
- 2017년: 1,070만 톤
- 2018년: 1,970만 톤
- 2019년: 3,150만 톤
- 2020년: 3,297만 톤
- 2021년: 3,487만 톤
- 2022년: 3,411만 톤
- 2023년: 3,625만 톤
- 2024년: 3,789만 톤[5]
2024년에는 사상 최대 물동량인 3,789만 톤을 기록하였으며, 같은 해에 이루어진 환적 운항 횟수는 92회로 역대 최고치를 갱신하였다. 환적 화물 물동량 역시 300만 톤을 넘어서며 신기록을 수립하였다.[6]
Remove ads
같이 보기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