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불확실성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불확실성(不確實性, uncertainty)은 완전하지 않거나 알 수 없는 정보를 수반하는 상황이다. 미래에 전개될 상황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없거나 어떤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을 명확히 추정할 수 없는 상태를 뜻한다.[1] 즉, 미래의 사건 예측, 이미 수행된 물리적인 측정, 알 수 없는 사항에 적용된다. 불확실성은 부분적으로 관찰 가능한, 또는 추계학적 환경에서 발생하며, 그 외에도 무지함, 게으름에 기인하기도 한다.[2] 보험, 철학, 물리학, 통계학, 경제학, 금융, 심리학, 사회학, 공학, 계량학, 기상학, 생태학, 정보과학 등 수많은 분야에서 발생한다.
경제학
불확실성이란 표현을 경제학에 처음 사용한 사람은 프랭크 나이트이다.[1] 그는 불확실성이란 개념과 위험성의 개념을 엄밀히 구분하려고 했다.[3] 프랭크 나이트는 불확실성(uncertainty)과 위험(risk)이 제대로 정의되지 않았다는 점을 들어 불확실성과 위험을 다른 것으로 보았다. 위험(risk)이란 단어는 일상적인 대화에서부터 경제적인 토론에 이르기까지 그 사용범위가 지나치게 넓다는 이유에서다. 그에 반해 불확실성이라는 단어는 경제학의 이익 개념 이론에서 먼저 등장했기 때문에 경제적인 담론에서는 불확실성이란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위험이란 단어를 사용하는 것보다 오해의 소지를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4] 또한 위험은 사건이 일어난다는 확률이고 불확실성은 확률을 전혀 모르는 상태로 분류했다.[5]
Remove ads
철학
철학에서 불확실성은 확실성이 결여된 상태로 확실성은 논리적, 물리적, 수학적으로 예상할 수 있는 상태를 뜻한다. 철학에서는 고틀로프 프레게가 처음으로 확실성이란 상태에 의문을 가졌고 수학자 쿠르트 괴델이 가장 간단한 산수를 제외하고는 모든 것이 확실성을 갖는다고 주장했다.[6] 이에 반해 위험은 장차 일어날 수도 있는 원치 않는 사건 중에 예상할 수 있는 사건을 뜻한다.[7]
물리학
전자의 위치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빛을 빠르게 쏘면 빛의 입자인 광양자에 전자가 부딪혀 위치가 왜곡되는 반면 빛을 느리게 쏘면 시간차가 발생해 원자핵 주위를 도는 전자의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없으므로 전자의 정확한 위치 측정은 불가능하다는 이론이다.
빛의 전이차가 큰 궤도에서는 대응원리로 설명이 가능했지만 작은 궤도에서는 대응원리만으로 전자의 위치를 설명할 수 없었다. 전자가 궤도를 이동하는 전이로 인해 에너지가 방출되면서 빛이 발생하는 것이 명확해지기 때문이다. 하이젠 베르크는 전이성분을 위치성분으로 간주하고 뉴턴의 운동방정식에 전이성분의 값을 대입하였다.[8]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