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불확실성 변수

소행성체의 궤도가 섭동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불확실성 변수
Remove ads

불확실성 변수(Uncertainty parameter) U소행성체 센터에서 도입한, 소행성체의 궤도 섭동 정도를 수치화하기 위한 변수로,[2][3] 0에서 9까지 로그 눈금을 사용하여 10년 후 소행성체의 평균 근점 이각의 로그적 불확실성을 측정한다.[4][2][3][5] 기본적으로 불확실성 변수의 수치가 클수록 궤도가 불확실하다는 뜻이다. JPL 소천체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불확실성 변수를 상태 코드(Condition code)로 칭하고 있다.[3][5][6] U의 값은 근지구 천체의 궤도 불확실성을 예측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2]

Thumb
크기가 킬로미터 단위인 근지구 천체의 궤도는 비교적 잘 계싼된 편이지만, 작은 근지구 천체 다수의 궤도는 상당히 불확실하다.[1]

궤도의 불확실성

자세한 정보 ‘D’, ‘E’ ...

궤도의 불확실성은 관측 횟수, 관측 기간(관측각), 관측의 종류(전파, 가시광 등), 관측의 상황 등 여러 변수와 관련이 있으며, 보통 이 중 관측 기간이 궤도의 불확실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8]

간혹 소행성체 센터에서는 알파벳 코드(‘D’, ‘E’, ‘F’)를 불확실성 변수 대신 사용하기도 한다.

자세한 정보 D, E ...
Remove ads

계산

요약
관점

U 변수는 두 단계를 거쳐 계산한다.[2][10] 먼저 각초 단위로 측정한 10년 후 궤도상의 경도 이탈 값, 즉 계산한 위치와 관측한 위치의 차이를 10년 어치만큼 증폭한 값인 을 계산한다.

여기서 각 변수의 뜻은 다음과 같다.

일 단위로 측정한 근일점 통과 시간의 불확실성.
계산한 궤도의 궤도 이심률.
연 단위로 측정한 공전 주기.
일 단위로 측정한 공전 주기의 불확실성.
, 도 단위로 변환한 가우스 인력상수.

그 후 계산한 경도 이탈 값을 0과 9 사이의 값을 갖는 불확실성 변수 U로 변환한다. 변환 결과 자체는 0보다 작거나 9보다 클 수 있지만, 이 경우는 각각 0과 9로 표기한다. U의 값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2016년 9월 10일 기준 세레스의 불확실성 변수 값은 약 −2.6이지만, 최솟값인 0으로 표기한다.

계산 과정에서 사용한 로그의 밑은, 계산 전 과정에서 같은 밑을 사용하면 밑의 값에 상관 없이 같은 값이 산출된다. 예를 들어, "log" = log10, loge, ln, log2 모두 U의 값은 동일하다.

Thumb
함수 U(r)의 그래프.
자세한 정보 U, 이탈값 10년 당 경도의 이탈 값 ...

반원은 648 000 각초이므로, 값이 9가 넘어가면 10년 후 천체의 위치가 어디인지 전혀 알 수 없다는 뜻과 같다.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