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브람 판 더 베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브람 판 더 베크
Remove ads

브람 판 더 베크(네덜란드어: Bram van de Beek, 1946년 10월 9일 - )는 네덜란드의 신학자이다. 그는 레이덴 대학교와 암스테르담 자유대학교에서 조직신학 교수를 하였고 은퇴하였다. 1995년 세계개혁신학회를 창립하였다. 2005년 한국에서 열리는 세계개혁신학회 때 방문하여 기조강연을 하였다.

Thumb
세계개혁신학회 모임 장소: 서울교회, 2005년 7월 5일
간략 정보 브람 판 더 베크Bram van de Beek, 출생 ...
Thumb
브람 판 더 베크 평택대학교 안명준 교수 연구실에서


Remove ads

경력

판더 베크는 1946년에 룬데런에서 태어났다.[1][2] 1964년부터 1970년까지 그는 신학 공부를 위트레흐트 대학교에서 하고, 아놀드 판 룰러(Arnold van Ruler)밑에서 석사학위를 얻었다. 그리고 4년 후 그 학교에서 F.P. 용커 아래서 Ph.D.(식물학)를 받았다. 레이던 대학교에서 신학박사(DTh)를 1980년 헨드리쿠스 베르코프의 지도하에 받았다. 그는 1970년부터 1981년까지 네덜란드 개혁교회에서 목회사역을 하였다. 2000년까지 레이든 대학에서 성경과 조직신학 교수였다. 그해 암스테르담 자유대학교에서 기독교학과의 교수가 되었다.1997년에는 왕립 네덜란드 예술과학한림원 회원으로 임명되었다.[3]

사상

요약
관점

반 데 비크는 그의 교의학 시리즈 「하나님에 대해 말하기(Spreken over God)」에서 정통 신학을 새롭게 형성해 가는 네덜란드의 대표적인 신학자로 간주된다. 주목할 점은 그가 초대 교부들, 특히 니케아 이전 교부들을 뚜렷하게 사용한다는 것이다. 그 결과, 그는 십자가(즉, 고난)의 형상 안에서 드러나는 그리스도를 강조하며, 이는 전체 신학을 ‘흡수’하는 강력한 강조로 나타난다. 그의 저서 『그리스도의 몸과 영(Lichaam en Geest van Christus). 교회와 성령의 신학』(2012)은 신학계 내에서 논란을 일으켰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저자가 이 책에서 개신교도들이 다시 '모교회'인 가톨릭 교회, 곧 로마 주교(교황)의 권위 아래로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또한 『메시아를 둘러싼 공동체(De kring om de messias)』(2002)라는 그의 책도 2023년에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결국 자유대학교(Vrije Universiteit)는 신학과 필수 읽기 목록에서 이 책을 제외했다. 비록 그 책에 쓰인 사상 자체가 반유대주의적이지 않다는 점은 인정되었지만, 그러한 사상을 불러일으킬 소지는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브람 판 더 베크 본인은 유대인들이 자신에게 그런 비난을 제기한 적이 없으며, 그는 모든 형태의 반유대주의를 거부한다고 밝혔다. 그의 사상에서 중요한 부분은 세상 고난에 대한 갈등이다. 그는 1984년에 이미 『왜? (Waarom?)』라는 책을 써서 고난, 죄책, 그리고 하나님에 대해 다루었다. 이후에도 『하나님보다 더 의로운 자(Rechtvaardiger dan God)』(1992), 『예수 쿠리오스(Jezus Kurios)』(1998), 『긴장된 사랑(Gespannen liefde)』(2000), 『메시아를 둘러싼 공동체(De kring om de messias)』(2002), 『한 사람이 변화를 만든다(Eén mens maakt het verschil)』(2007), 『하나님이 공의를 행하신다(God doet recht)』(2008) 등 여러 저작에서 이 주제가 반복해서 다뤄진다.

판 더 베크에게 고난에 대한 질문은 세계의 불가피한 현실이다. 우리는 일시적으로 고통을 회피하는 데 만족해서는 안 된다. 세상은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역사의 이편, 이 세상 안에서 우리는 그리스도인으로서 고난받는 이, 십자가에 못 박힌 이신 그리스도를 받아들여야만 한다. 우리는 믿음 안에서 불의와 고난의 올바른 완성이 오기를 기다리며 산다.

Remove ads

저서

  1. Why? On Suffering, Guilt, and God (Dutch 1984; English1990)
  2. The Breath of God: the Holy Spirit in Church and Cosmos (Dutch 1987)
  3. Miracles and Miracle Stories (Dutch1991; Indonesian 1996)
  4. Creation: the World as a Prelude to Eternity (Dutch 1996)
  5. Jesus Kyrios: Christology as the Heart of Theology (Dutch 1998; English 2002)
  6. The Circle around the Messiah: Israel as the People of the Suffering Lord (Dutch 2002)
  7. Creation or incident (Dutch 2006)
  8. God does justice: Eschatology as Christology (Dutch 2008)

참고문헌

  • 판 더 베크, "교회의 정체성과 사명", 번역 안명준 <조직신학연구> 2 (2003): 12-30.

각주

같이 보기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