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블루플래닛상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블루플래닛 상(Blue Planet Prize)은 지구의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데 크게 기여한 과학자 혹은 단체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이 상은 1992년 리우 지구정상회의가 열린 해에 아사히 유리 재단에서 제정했으며, 그 이후로 재단은 매년 두 명의 수상자에게 상을 수여했다. 2012년에 블루 플래닛 상 수상자 20명은 2월 20일 나이로비에서 열린 유엔 환경계획 관리위원회 회의에서 발표된 공동 논문에 협력했다.
수상자 목록
| 년도 | 수상자 이름 |
| 1992 | 마나베 슈쿠로 |
| 국제환경개발연구소 (IIED) | |
| 1993 | 찰스 데이비드 킬링 |
| 국제자연보전연맹 (IUCN) | |
| 1994 | 유진 세이볼드 |
| 레스터 R. 브라운 | |
| 1995 | 모리스 스트롱 |
| 버트 볼린 | |
| 1996 | 월리스 브로커 |
| M. S. 스와미나탄 연구재단 (MSSRF) | |
| 1997 | 제임스 러브록 |
| 보존국제 (CI) | |
| 1998 | 미하일 부디코 |
| 데이비드 브라우어 | |
| 1999 | 폴 R. 에를리히 |
| 취거핑 | |
| 2000 | 테오 콜본 |
| 칼 헨리크 로베르트 | |
| 2001 | 로버트 메이 |
| 노먼 마이어스 | |
| 2002 | 해럴드 A. 무니 |
| 제임스 구스타브 스페스 | |
| 2003 | 진 리컨스 |
| F. 허버트 보르만 | |
| 보퀴 | |
| 2004 | 수전 솔로몬 |
| 그로 하렘 브룬틀란 | |
| 2005 | 니콜라스 섀클턴 |
| 고든 사토 | |
| 2006 | 미야와키 아키라 |
| 에밀 살림 | |
| 2007 | 조셉 삭스 |
| 아모리 로빈스 | |
| 2008 | 클로드 로리우스 |
| 호세 골덴버그 | |
| 2009 | 우자와 히로후미 |
| 니콜라스 스턴 | |
| 2010 | 제임스 한센 |
| 로버트 왓슨 | |
| 2011 | 제인 루브첸코 |
| 베어풋 칼리지 | |
| 2012 | 윌리엄 E. 리스 |
| 마티스 바커나겔 | |
| 토마스 러브조이 | |
| 2013 | 마쓰노 타로 |
| 다니엘 스퍼링 | |
| 2014 | 허먼 데일리 |
| 다니엘 헌트 얀젠 | |
| 국립생물다양성연구소 (INBio) | |
| 2015 | 파르타 다스굽타 |
| 제프리 삭스 | |
| 2016 | 파바이 수크데브 |
| 마르쿠스 보르너 | |
| 2017 | 한스 요아힘 셸른후버 |
| 그레첸 데일리 | |
| 2018 | 브라이언 워커 |
| 말린 팔켄마크 | |
| 2019 | 에릭 램빈 |
| 재러드 다이아몬드 | |
| 2020 | 데이비드 틸먼 |
| 사이먼 스튜어트 | |
| 2021 | 베르바드란 라마나탄 |
| 모한 무나싱헤 | |
| 2022 | 지미 싱게 왕축 |
| 스티븐 R. 카펜터 | |
| 2023 | 리처드 톰슨 |
| 타마라 갤러웨이 | |
| 페넬로페 린데케 | |
| 데바라티 구하 사피르 |
Remove ad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