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과율 T와 흡광도 A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는 투과하는 물질의 방사속이다.
는 받는 물질의 방사속이다.
이 때 비어-람베르트 법칙에 의하면 단일 매질에 대한 흡광도 A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변수는 다음의 의미를 가진다.
는 흡광도를 의미한다.
는 매질의 몰 흡광계수 또는 흡수율을 의미한다.
는 매질 내에서 빛의 이동 거리를 의미하며, 센티미터[cm] 단위로 적는다.
는 매질의 농도를 의미한다.
빛이 N개의 서로 다른 매질 속을 이동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이를 투과율 T와의 관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τ와 A를 통해 지수부의 복잡한 적분식을 간단히 표현할 수 있다. 이 때 두 변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여기서 각각의 변수는 다음의 의미를 가진다.
는 i번째 매질의 단면적당 감쇠율을 의미한다.
는 i번째 매질의 개수밀도를 의미한다.
는 i번째 매질의 몰 흡광계수 또는 흡수율을 의미한다.
는 i번째 매질의 몰 농도를 의미한다.
은 i번째 매질 속에서 빛이 이동한 거리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