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비잔틴 성상파괴운동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비잔틴 성상파괴운동
Remove ads

비잔틴 성상파괴운동(Byzantine Iconoclasm; Εἰκονομαχία, Eikonomachía, 문자적의미로, "형상투쟁" or "형상에 대한 투쟁")은 동로마 제국의 역사에서 동방 정교회의 종교 지도자들에 의해서 그리고 세속 제국의 권력자들에 의해서 종교적 모양이나 형상의 사용이 반대를 받은 것을 말한다. 첫 번째 성상파괴운동은 레온 3세에 의해서 시작되었다. 두 번째 성상파괴운동은 814년에서 842년까지 있었다. 황제가 교회의 수장인 황제교황주의체제[2]로 발전한 비잔틴제국에서는 황제와 교회가 대립하는 경우가 잦았는데, 황제는 성직자를 견제하고 교회에 대한 간섭의 기회로 삼기 위해 성상사용을 금지하는 이른바 성상파괴(Iconoclast)운동을 일으켰다.[3] 성상파괴라는 말인 Iconoclasm은 그리스어 εἰκονοκλάστης에서 왔는데, εἰκονο- icono- [형상] + κλάστης - [파괴자]를 의미한다.

Thumb
19세기 이탈리아 그림,  성상파괴운
Thumb
성상에 대한 논쟁
Thumb
성상옹호자인 사데스의 유티미우스 감독이 비잔틴 황제 마이클 2세(824년)에게  고문과 순교를 당하는 모습
Thumb
천사의 후원으로 형상을 가진 콘스탄틴노플의 교수 게마노스 1 세
Thumb
제 7차 니케아 공의회 의 형상
Thumb
비잔틴 황제 테오도르 통치하에 우상파괴운동에 대한 정통주의 승리를 보여주는 그림, 843. (National Icon Collection 18, British Museum).
Thumb
Thumb
Thumb
우상파괴운동주의자 콘스탄티노스 5세 때  교회의 파괴된 모습의 그림
Thumb
 단순한 십자가상: 이스탄불 하기 아이린 교회에서 성상파괴운동의 모습
Thumb
비잔틴 Iconoclasm, Chludov 시편,9 세기.[1]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참고 문헌

추가 자료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