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비정상회담
대한민국의 방송사 JTBC의 텔레비전 토크 쇼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비정상회담》(非頂上會談)은 대한민국의 방송사 JTBC의 텔레비전 토크쇼이다. 외국인 남성 패널들, 세 진행자들, 그리고 매주 바뀌는 게스트와 함께 특정 주제와 안건에 대해 토론을 한다.
Remove ads
개요
"비정상회담"은 나라의 정치적 지도자, ‘우두머리’(頂上, Summit)들의 회담이라는 뜻을 갖고 있는 ‘정상회담’(頂上會談, Summit Meeting)이라는 용어를 교묘히 바꾼 말로, 앞에 ‘아닐 비’(非)를 붙여 “정상이 아닌 평범한 사람들의 회담”(Non-Summit Meeting)이라는 뜻과, ‘정상’(正常, Usual)이냐 ‘비정상’(非正常, Unusual)이냐를 가르는 “색다른(Unusual) 사람들의 회담”이라는 뜻 모두를 나타내는 중의적 표현이다.
다음과 같은 오프닝 멘트를 한 다음에 개회 선언을 하며 시작한다.
“ | 국제 평화 및 안전 유지를 위해 각국 정상들이 국제 연합, 유엔(UN)에 모여 정상회담을 펼칠 동안 자국에서 정식 파견한 적은 없지만, 지들(G들) 입으로 대표라 우기는 지들이(G들이) 모여 세계 청년들의 평화와 안전을 위한 비정상회담을 개최했다. | ” |
53회 방송 이전까지는 "정상회담을 펼칠 동안"과 "자국에서 정식 파견한 적은 없지만..." 사이에 "후미진 구석방..."이라는 문구가 있었지만, 53회 방송부터는 방송 세트장 구조의 변경으로 인해 그 멘트를 하지 않는다.
Remove ads
방송 시리즈
출연진
의장단 (MC)
각국 대표
- 패널의 이름 앞에 붙은 국가는 국적이 아닌 출신 국가를 기준으로 한다. 안드레아스 바르사코풀로스는 그리스와 미국의 복수 국적을 가졌으나 그리스에서 온 패널이고 그리스에 대하여 소개하기 위해 나온 패널이므로 출신국가를 그리스라고 표기한다.
고정 패널
- * 나열 순서는 이름의 가나다 순이다.
일일비정상
- 이 중 일리야 벨랴코프 (하차), 블레어 윌리엄스 (하차), 수잔 샤키야 (하차)는 28회부터, 새미 라샤드 (하차)는 53회부터, 마크 테토는 103회부터, 크리스티안 부르고스는 106회부터 고정 패널이 되었다.
- * 나열 순서는 일일비정상으로 참여한 회차 순이다.
- * 파란색은 현재 고정패널이 된 일일비정상, 노란색은 고정패널이였지만 하차한 일일비정상이다.
불참 사유
Remove ads
에피소드 목록
한국 비정상 대표 (게스트)
- 각 회차마다 각계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이 0~2명이 "한국 비정상 대표"로 나오게 된다. 가끔 한국 대표가 아닌 다른 나라 사람이 나오기도 하며 국적에 따라 그 나라를 대표한다. 국적 표기가 애매할 경우에는 청년 대표를 맡기도 한다. 직업군은 대부분이 연예계에 종사하는 사람들이다.
- 비정상회담의 에피소드 목록 (2014년)
- 비정상회담의 에피소드 목록 (2015년)
- 비정상회담의 에피소드 목록 (2016년)
- 비정상회담의 에피소드 목록 (2017년)
글로벌 문화 대전
- 글로벌 문화 대전은 각국 대표들의 자국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알아보고, 타국문화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버리는 코너이다. 28회부터는 각국의 이슈를 알리는 내용으로 꾸며졌으나, 녹화일자와 방송일자가 간격이 있어 이슈가 아니기 때문에 "한 발 늦은 이슈 늦었슈"로 코너를 지칭하였으며, 3~6개국 정도의 소식을 전했다. 53회부터 64회까지는 "다시 쓰는 세계사"를 선보였다. 66회부터는 "뭔? 나라 이웃나라!" 코너를 마련하여 매회마다 한 명의 일일 비정상 대표가 출연하여 자국의 여러 문화 등을 소개하고, 자국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안건을 내놓고 서로 토론을 하였다. 이후 69회부터는 같은 코너에서 안건은 따로 내놓지 않고, 그 나라의 문화를 알아보는 "그곳이 알고 싶다"로 바뀌었고,글로벌 문화 대전은 102회까지 하였다.
지구상의 반찬타임
- 지구상의 반찬타임은 각국 대표들이 함께 토론해보고 싶은 각국의 이슈를 가져와 다양한 의견을 들어보는 시간!모든 이슈를 반찬삼아 토론하는 코너이다. 104회부터는 뭣이 중헌디!를 시작하였다.
상정 안건
- 한국 비정상 대표로 나오는 게스트가 시청자에게 받은 안건(혹은 본인의 고민)을 읽고 상정하여 그 문제에 대해 토론을 거친 후 최종에는 거수로 "정상", "비정상"을 가리게 된다.
Remove ads
제작진
- 기획
- 여운혁 : 1 ~ 8회
- 임정아 : 9 ~ 27(?)회
- 윤현준 : 28(?)회 ~ 71회 현재
- 작가
- 김명정, 노민선, 김태희, 박서진, 강새롬, 양미란, 양희진 : 1 ~ 27(?)회
- 김명정, 노민선, 김태희, 이향숙, 강새롬, 양미란, 양희진, 윤종빈 : 28(?)회 ~ 102회
- 정다운, 남지연, 홍윤경, 신혜림, 김나영, 박서아, 이소현, 손희정, 전선우, 강솔비 : 103회 ~ 현재
- 연출
- 임정아, 김희정, 홍상훈, 박지예, 최보윤 : 1 ~ 8회
- 김희정, 홍상훈, 박지예, 최보윤 : 9 ~ 54회
- 김희정, 홍상훈, 김재원, 최보윤 : 55회 ~ 102회
- 김노은, 김재원, 정재훈, 안성한, 강홍주 : 103회 ~ 현재
Remove ads
수상 경력
스핀오프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
수출판
중국
터키
각주
결방 사유
같이 보기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