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사도시 (조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사도시(司䆃寺)는 조선시대에 내선(內膳: 대궐내의 음식)의 미곡(米穀: 쌀을 포함하는 다른 곡식)을 수입·지출하는 일을 관장하는 관청을 말한다.[1]

기관 연혁

사도시의 관직

자세한 정보 품계, 관직명 ...


자세한 정보 품계, 관직명 ...


자세한 정보 품계, 관직명 ...
Remove ads

사도시와 사선시

조선왕조실록에 보면 사선시가 사도시로 개정되었다는 내용은 찾아볼 수가 없다. 그렇지만 사선시와 사도시의 한자를 잘 살펴보면 각 단어의 중간에 있는 '도'와 '시'만 다를 뿐 이고, 이 또한 해석의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당시 사선시와 사도시는 같이 혼용해서 쓰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성종 이후로 사선시 대신에 사도시로 굳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