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사랑과 야망 (2006년 드라마)

2006년 SBS 주말드라마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사랑과 야망》은 2006년 2월 4일부터 2006년 11월 12일까지 방영된 SBS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이며 원래 SBS 프로덕션에서 외주제작할 예정이었으나[1] 연출자 곽영범 PD가 SBS 프로덕션에 사표를 제출한 뒤 새롭게 설립한 수&영 프로덕션으로 자리를 옮기는 바람에 이 회사로 외주제작사가 변경됐다.

간략 정보 장르, 방송 국가 ...
간략 정보
Remove ads

개요

1987년에 방송된 동명의 드라마 <사랑과 야망>을 당시 극본과 연출을 맡았던 김수현 작가, 곽영범 PD가 리메이크한 작품이다.

오프닝 영상에서는 2006 사랑과 야망으로 표시되었다. 원작과 비교해서 시대 배경은 60년대부터 80년대까지에서 90년대로 확장되었고, 결말은 애증에서 화해로 바뀌었다.[2]

기획 의도

1960년 1월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걸쳐서 그려질 한 집안의 가족사를 담은 드라마

등장 인물

주요 인물

  • 조민기 : 박태준 역 - 삼남매 중 장남
  • 한고은 : 김미자(김미희) 역 - 태준의 첫사랑, 배우
  • 이훈 : 박태수 역 - 삼남매 중 차남
  • 이민영 : 오은환 역 - 과수원집 딸, 태수의 후처

그 외 인물

  • 정애리 : 어머니 역 - 삼남매의 어머니
  • 이경실 : 파주댁 역 - 동네 막걸리집 주모
  • 추상미 : 변정자 역 - 태수의 전처
  • 전노민 : 장홍조 역 - 태준의 친구, 선희의 남편, 의사
  • 이유리 : 박선희 역 - 삼남매 중 막내, 소아마비
  • 이승연 : 송혜주 역 - 혜영의 동생, 미자를 발탁
  • 하유미 : 송혜영 역 - 혜주의 언니, 레스토랑 경영
  • 이원종 : 조동탁 역 - 정자의 두 번째 남편, 난봉꾼
  • 선우재덕 : 김성진 역 - 미자의 첫 번째 남편, 감독(심장마비,하차)
  • 김나운 : 명자 역 - 태준 어머니의 수양딸
  • 윤해영 : 최재은 역 - 이혼한 태준의 새 연인
  • 정재순 : 혜주, 혜영의 이모 역 - 인테리어
  • 양재성 : 은환 아버지 역 - 과수원 경영
  • 한인수 : 홍조 아버지 역 - 내과 의사
  • 맹상훈 : 미자 아버지 역 - 주정뱅이
  • 박준금 : 홍조 새어머니 역
  • 이도련 : 아버지 역 - 삼남매의 아버지, 방앗간 주인(낚시터에서 자살을 하고 사망, 하차)
  • 유승봉 : 정자 아버지 역 - 전당포 집 주인
  • 조은덕 : 정자 어머니 역
  • 최준용 : 고동철 역 - 양조장집 주인(5회에서 태수에게 폭행을 당하고 6회에서는 병원까지 신세지게 됨. 하차)
  • 윤용현 : 고동철의 부하 역(태수에게 폭행을 동철과 똑같이 당함. 하차)
  • 윤기원 : 오성균 역 - 태수의 친구
  • 김호영 : 회장 역 - 태준의 회사 회장
  • 차광수 : 라신일 역 - 혜영의 남편
  • 서민정 : 장세미 역 - 홍조의 이복동생
  • 남승민 : 김두식 역 - 태준의 대학후배
  • 이승형 : 월부책 외판원 역 - 정자의 불륜남
  • 이슬비 : 유리 역 - 혜주의 숨겨진 딸
  • 이철민
  • 이은철
  • 박형준
  • 김하균
  • 서혜린
  • 이병준 : 신 전무 역
  • 이정성 : 임 실장 역

자녀들

  • 이디엘노민우이승엽김태진김우현 : 박훈 역 - 태수와 정자의 아들
  • 양영민김란영정효은김원희김정민 : 박수경 역 - 태수와 정자의 딸
  • 이상인 : 지현정 역 - 훈의 아내
  • 이도일 → 이민호안용준 : 박상우 역 - 태준과 미자의 아들
  • 김지태 → 서대한 → 장기범 : 박현 역 - 태수와 은환의 외아들
  • 강빛김학준 → 이홍규 : 장요섭 역 - 홍조와 선희의 아들
  • 박한나 → 배나연강초희 : 장미나 역 - 홍조와 선희의 딸
  • 이지환 : 박승민 역 - 훈과 현정의 아들

성우

시청률

초반에는 10% 초반대의 시청률에 머물렀으나 중반 이후 20% 이상의 시청률을 유지하였고, 마지막회에는 자체 최고 시청률인 27.3%(AGB 닐슨)를 기록하며 종영하였다.[3]

결방 및 연속 방영

결방

연속 방영

Remove ads

연장

  • 2006년 6월 16일 : 사랑과 야망 방영 분량이 50부작에서 31회 연장되어 81부작으로 변경 및 확정되었다.[4]

수상

참고 사항

  • 심은하, 고소영, 김희선 등이 미자 역의 물망에 올랐으나, 심은하는 방송 복귀를 거부하였고, 고소영은 시대극과 이미지가 맞지 않아 제작진의 선택을 받지 못했으며, 김희선은 조건이 맞지 않아 출연 제의를 포기했다.[5]
  • 아나운서 출신 연기자 임성민은 최재은 역의 후보에 올랐으나 최종 탈락하였다.[6]
  • 허준호는 당초 정자의 두 번째 남편인 조봉진 역으로 출연 예정이었으나[7] 불발되었고, 한 달 뒤 태수를 돕는 사업가 역으로 중도 투입될 예정이었으나[8] 역시 불발되었다.
  • 원작에서 태수 역을 맡았던 이덕화는 카메오 출연을 희망하였으나 드라마의 리얼리티를 위해 출연하지 않기로 결정하였다.[9]
  • 정애리가 연기한 어머니 역은 대본 어디에서도 그 이름이 나오지 않았다.[10]
  • 명자(김나운) 역은 원작에는 없었던 인물로 리메이크 작에서 새롭게 탄생된 캐릭터이다.[11]
  • 태수 역의 이훈과 극 중 태수의 아들의 이름이 박훈으로 같아 촬영장에서 쓰는 호칭에 혼선을 빚었다.[12]
  • 두식 역의 남승민의 아버지는 원작에서 태준 역을 맡았던 남성훈이다. 또한, 김호영은 원작에서는 김성진 역, 리메이크작에서는 회장 역을 맡았는데, 유일하게 원작과 리메이크작에 모두 출연한 연기자이다.[13]
  • 리메이크작 배우들의 연기가 원작 배우들의 연기에 미치지 못한다는 평이 있었다.[2]
  • 우은환 역의 이민영은 해당 드라마 종영 후 담당 PD 곽영범의 둘째 아들 이찬(본명 곽현식)과 결혼하였다.[14]
  • 2010년 5월 28일, 김수현 작가는 자신의 트위터에서 미자의 근황에 대하여 "미자는 외로워하며 늙어가고 있겠죠. 아마 그럴 거에요."라고 말했으며 해당 작품 방영 당시 SBS는 2003년 10월 10기 이후[15] 공채 탤런트 제도를 잠정 폐지한 상태였고 해당 작품 방송 당시 이일화(2기)[16] 를 비롯한 몇몇 공채 출신 배우들이 타방송사-영화-CF 등으로 흩어졌거나 탤런트 활동을 잠정 중단하기도 했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