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리명 |
마을유래 |
자연마을 |
비고 |
화죽리(花竹里) |
본래 태인군 산외이변면(山外二邊面) 구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상엄리(上庵里), 하염리(下庵里), 죽동(竹洞), 화정리(花亭里), 무릉리(武陵里), 산내리(山內里), 녹동(鹿洞), 당곡리(唐谷里), 진계리(眞溪里)일부를 병합하여 중심마을 화성 죽동을 약칭한 화죽리라 하고, 정읍군 산외면에 편입하였다. |
1) 엄계(奄溪) 마을 2) 죽동(竹洞) 마을 3) 화정(花亭) 마을 4) 사가(四街) 마을 5) 당록(唐鹿) 마을 |
|
상두리(象頭里) |
본래 태인군 산외일변면(山外一邊面)과 산외이변면(山外二邊面)구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구장리(九將里), 만병리(萬兵里), 만헌리(萬軒里), 진계(眞溪里) 일부와 산외일변면(山外一邊面) 상두리(上頭里), 가야리(佳也里)를 병합하여 이 지역이 상두산 아래가 됨으로 그 이름을 따서 상두리라 하고 정읍군 산외면에 편입하였다. |
1) 구장(九將) 마을 2) 만병(萬兵) 마을 3) 동진(東眞) 마을 4) 서진(西眞) 마을 5) 상두(象頭) 마을 |
|
정량리(貞良里) |
본래 태인군 산외이변면(山外二邊面)구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정야리(貞良里), 도화동(桃花洞), 내릉리(內菱里), 민하동(民賀洞), 능암리(菱岩里), 안계리(雁溪里)를 병합하여, 그 중심 마을 이름을 따라 청량리라 하고, 정읍군 산외면에 편입 하였다. |
1) 원정(元貞) 마을 2) 상용(上龍) 마을 3) 도원(桃源) 마을 4) 능암(菱岩) 마을 5) 민하(民賀) 마을 6) 안계(雁溪) 마을 |
|
평사리(平沙里) |
본래 태인군 산외일면(山外一面) 구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사평리(沙平里), 하성리(下城里), 신천리(新川里), 평동(平洞), 용두리(龍頭里) 각일부와 산외이변면 운전리(雲田里), 노은리(老隱里), 척곡리(尺谷里)를 병합하여, 중심 마을 평동과 사평을 약칠한 평사리라 하고, 정읍군 산외면에 편입하였다. |
1) 노은(老隱) 마을 2) 운전(雲田) 마을 3) 평사(平沙) 마을 4) 신촌(新村) 마을 |
|
동곡리(東谷里) |
본래 태인군 산외일변면(山外一邊面) 구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상지리(上知里), 하지리(下知里), 동곡리(東谷里), 용두리(龍頭里), 평동(평동) 등 각 일부를 병합하여, 그 중심 마을 이름을 따라 동곡리라 하고, 정읍군 산외면에 편입하였다. |
1) 용두(龍頭) 마을 2) 동곡(東谷) 마을 3) 지금(知琴) 마을 |
|
오공리(五公理) |
본래 태인군 산외일변면(山外一邊面) 구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주곡리(注谷理), 야정리(野丁里)를 병합하여 오공리하 하고 정읍군 산외면에 편입하였다. |
1) 야정(野亭) 마을 2) 공동(公洞) 마을 3) 신배(新培) 마을 4) 상정(雙亭) 마을 : 쌍정 5) 이치(狸峙) 마을 |
|
목욕리(沐浴里) |
본래 태인군 산내일변면(山內一邊面) 구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내목리(內木里), 외목리(外沐里), 양하리(良賀里), 마시동(馬嘶洞), 상두리(上斗里) 일부를 병합하여, 이 지역의 중심 마을 냉외목리의 이름을 따라 목욕리라 하고, 정읍군 산내면에 편입하였다가, 1973년 7월 1일 대통령령 제 6542호에 의하여 이웃 산외면에 편입하였다. |
1) 내목(內沐) 마을 2) 외욕(外浴) 마을 : 외목 |
|
종산리(宗山里) |
본래 태인군 산내일변면(山內一邊面) 구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여우리(如牛里), 하쌍리(下雙里), 원전리(元田里)와 임실군 하운면(下雲面) 여우치(如牛峙) 일부를 병합하여 종산리라 하고, 정읍군 산내면에 편입했다. 그 뒤 1973년 7월 1일 대통령령 제 6542호에 의하여, 이웃 산외면에 편입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
1) 종산 1리(宗山 1里) 마을 2) 종산 2리(宗山 2里) 마을 3) 여우치(如牛峙) 마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