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산청한의학박물관 향약집성방 권49〜51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산청한의학박물관 향약집성방 권49〜51
Remove ads

산청한의학박물관 향약집성방 권49〜51(山淸韓醫學博物館 鄕藥集成方 卷49〜51)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산청군에 있는 향약집성방이다. 2017년 4월 13일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609호로 지정되었다.[1]

간략 정보 종목, 수량 ...

개요

「鄕藥集成方」은 麗末鮮初의 鄕藥類 및 經驗方類 처방을 집대성하여 간행한 의서이다.

「향약집성방」의 처방들은 대체로 宋代의 醫書인 「太平聖惠方」을 기본으로 하였으며, 전래되던 麗末鮮初의 각종 鄕藥方 醫書들을 수집하고 정리한 것으로, 전통의 경험방 多數 즉 俗方들을 다양하게 수록하고 있다. 韓醫學에서 꼭 알아야 되는 내용들을 수록하고 있다.

현재 「향약집성방」의 世宗 시대 初刊本은 전래되지 않으며, 본 조사자료와 같은 조선 前期의 목판본, 이른바 成宗時代 刊本이 最古本으로 인지되고 있다.

朝鮮前期의 목판본 「향약집성방」은, 본 조사자료인 <산청 한의학 박물관> 소장 ‘권49~51’이 있고, <동국대학교>에 ‘권73~75’ 3권1책이 소장되어 있으며, 「한국의학대계」에 ‘권16~18’ ‘권23~24’가 일부 사진으로나마 소개되어 있다.

본 조사자료인 <산청 한의학 박물관> 소장 목판본 향약집성방‘권49~51’은 成宗年間 중‘1478년(成宗 9)’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되며, 稀貴本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Remove ads

각주

참고 문헌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