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산청 소남리 선사유적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산청 소남리 선사유적(山淸 召南里 先史遺蹟)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소남리에 있는 선사유적이다. 1999년 8월 6일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216호로 지정되었다.
개요
단성면 소남리에 있는 신석기시대~가야시대의 생활·매장유적으로 남강변에 형성된 포인트 바(Point bar)에 자리잡고 있다. 남감댐 보강공사 계획에 따라 1985년부터 1999년까지 신라대학교 가야문화재연구소에 의해 3차례에 걸쳐 발굴조사되어 수많은 유구와 유물이 발견되었다. 현장설명회 자료와 여러 보고문에 따르면 이 곳에서는 신석기시대의 움집터와 적석유구, 청동기시대의 움집터와 돌널무덤, 원삼국시대의 움집터와 수혈유구, 널무덤, 띠모양유구, 가야시대의 집터, 방형 돌방무덤 등 오랜 시간에 걸쳐서 여러 종류의 유구가 형성된 것으로 파악된다.
이 중에서 원삼국시대의 유구는 161동의 집터를 중심으로 8기의 수혈유구, 1기의 돌방무덤, 1기의 띠모양유구 등으로 모두 171기가 조사되었다.
원삼국시대의 집터는 대개 평면 원형으로 직경이 7~10m에 이르는 규모로서 청동기 시대의 것에 비하여 큰 편이며, 내부 바닥은 점토로 다지거나 불다짐 처리하여 단단하게 하였다. 그리고 내부에서는 아궁이가 갖추어진 화덕자리도 확인되었다.
유물은 적갈색 연질토기가 대부분으로 소뿔모양의 손잡이가 달린 시를 비롯하여 항아리, 접시 등이 발견되었다.
Remove ads
참고 문헌
- 산청소남리선사유적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